밤새서 창재애들꺼 도와준다고 ALD 공정 돌렸는데 CVD가 일어남
열화되어 열분해가 일어난줄알고 온도를 낮춰 시행
또 CVD가 일어남
어쩌지 했는데
박사형이 공정할때 압력을 보시더니 완전히 PURGE가 되지않은것이라고 얘기해주심
역시 사람은 머리가 좋아야한다.
밤새서 창재애들꺼 도와준다고 ALD 공정 돌렸는데 CVD가 일어남
열화되어 열분해가 일어난줄알고 온도를 낮춰 시행
또 CVD가 일어남
어쩌지 했는데
박사형이 공정할때 압력을 보시더니 완전히 PURGE가 되지않은것이라고 얘기해주심
역시 사람은 머리가 좋아야한다.
와해성 기술(Disruptive Technologies: Riding the Wave) 또는 와해성 혁신은 업계를 완전히 재편성하고 시장 대부분을 점유하게 될 신제품이나 서비스를 말한다. 초기에 핵심 시장이 요구하는 성능 조건을 만족시킬 정도로 우수하지 않지만, 파괴적 혁신 기업들은 더욱 매력적인 수익 마진을 추구하면서 자체적인 존속적 개선 경로를 따라 공격적으로 고급 시장에 진출 한다. 기존 기업의 제품들에 비해 저렴하며 사용이 간편하다. 기존 기업 시장의 중심부에서 떨어져 있는 지점에서 성장의 기회를 창출 한다.[1]
https://ko.wikipedia.org/wiki/%EC%99%80%ED%95%B4%EC%84%B1_%EA%B8%B0%EC%88%A0
그레고리 맨큐 - 맨큐의 경제학
맨큐의 10대 기본원리
1. 모든선택에는 대가가 있다.
2. 선택의 대가는 그것을 얻기위해 포기한 그 무엇이다.
3. 합리적 판단은 한계적(marginal)으로 이뤄진다.
4. 사람들은 경제적 유인에 반응한다.
5. 자유로운 거래는 모든 사람을 이롭게 한다.
6. 일반적으로 시장이 경제활동을 조직하는 좋은 수단이다.
7. 경우에 따라 정부가 시장성과를 개선 할 수 있다.
8. 한 나라의 생활수준은 그 나라의 생산 느력에 달려있다.
9. 통화량이 지나치게 늘면 물가가 상승한다.
10. 단기적으로 인플레이션과 실업 사이에는 상충관계가 있다.
------------------------------------------------------------------
경제적으로 잘은 모르지만
1번 2번은 인생에서도 새겨 들을 말
CVD가 일어난 이유 (0) | 2018.05.22 |
---|---|
와해성 기술 (0) | 2018.05.16 |
NVH (0) | 2018.03.26 |
책 (0) | 2018.02.25 |
천천히 아주 천천히 (0) | 2018.02.25 |
AFM 이용
RMS Roughness
https://www.researchgate.net/post/What_is_the_physical_significance_of_the_RMS_roughness_of_any_surface_measured_by_AFM_analyeser_software
It dependents on what you need. If you want to reduce the surface scattering or use the materials as substracts for the growth of other materials, a small RMS is prefered. If you want a small reflectivity, a lager RMS is needed.
그것은 당신이 필요로하는 것에 의존합니다. 표면 산란을 줄이거 나 다른 재료의 성장을 위해 재료를 사용하지 않으려면 작은 RMS가 좋습니다. 작은 반사율을 원한다면 라거 RMS가 필요합니다.
핸드폰 충전속도 컴퓨터와 충전기 다른이유 (0) | 2018.06.07 |
---|---|
전기화학 (0) | 2018.04.01 |
CV법 Cyclic Voltammetry 전기화학분석 (0) | 2018.04.01 |
젖음성 wetting (0) | 2018.03.26 |
재무제표 보는법 (0) | 2018.01.31 |
논문 제목
Suppressed decomposition of organometal halide perovskites by impermeable electron-extraction layers in inverted solar cells
출처
https://www.nature.com/articles/ncomms13938 [ 네이처 커뮤니케이션]
Published: 09 January 2017
Abstract
solar cell 에서 thin-film photovolaics -> organometal halide perovskite 대세
perovskite solar cell의 경우 stability 안전성 문제가 크다.
inverted perovskite solar cell은 물에서 decompose 된다. 심지어 inert gas 상태 고온에서 자기분해가 된다.
우리는 bilayered electron-extraction interlayer consisting of aluminium-doped zinc oxde and tin oxide 이거소개할건데 ( Al-ZnO , Al-SnO )
특히 ALD공정을 통해 만든 Al-SnO는 dense gas permeation barrier 을 가지고 있어서 mositure가 들어오는것을 막고 이것은 perovskite의 분해생성물이 나가는것을 방지한다.
그래서 perovskite의 분해가 줄어들고 그것이 device의 stability를 늘릴것이라고 예상된다.
Introduction
organolead halide perovskite 최근 5년간 좋은성과
PCE[Power Conversion Efficiency] 도 20%가 넘어섰지만 stability problem 존재
CH3NH3PbI3 와 같은 물질은 물과 함께 있으면 HI,CH3NH2,PbI2로 분해되며
고온, Inert gas 상태에서 CH3NH3I ,PbI2로 자기분해되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분해반응으로 인해 2차적 문제가 발생하는데
1.perovskite로 부터 분해된 물질이 degradation of functional buidling blocks in the solar cell
( 아마도 solar cell 구조파괴 인듯-> 찾아보니 building block 은 구성하는 물질?구조? 정도로 번역되네 빌딩에 벽돌이라는 뜻인듯)
2. 금속전극 (예:Ag or Al) 의 부식 등이 있으며
잘 control 해서 쓰면 organolead halide perovskite도 여러분야에 쓰일수 있을것이야
perovskite solar cell의 구조에서 the inverted planar geometry로 만들어야 free of hysteresis가 된다.
photogenerated holes 은 bottom electrode 에서 hole-extraion interlayer를 이용해서 뽑아내고
electron 추출은 top electrode에서 진행된다.
활발하게 정렬잘하는(?) CH3NH3PbI3 와PCBM 때문에 perovskite의 conduction band에서 전자를 추출하는데 유리하다. ( 흠 ...무슨소리지)
안정성을 위해 다른 사람들이 열심히 연구했는데
inverted planar perovskite cell based on metal oxide as electron- and hole extraion interfacial layers adjacent to the cathode and anode,
( 금속산화물 기반 애노드와 전자추출층, 캐소드와 홀 추출 층이 붙어있는 구조로 되어있는 inverted planer perovskite cell)
여기서 잠시.. 애노드는 전자를 추출하나 ? 애노드에서 주변 물질이 산화가 일어나서 전자를 잃게되니까 전자를 추출해가겠고
캐소드는 주변에서 환원되어서 전자를 얻는다 즉 홀을 잃는다고 볼수있을..(까?) 테니까 .. 홀을 추출해가고 ... 잘모르겠지만 통과
Chen이라는 사람은 Sol-gel 방식으로 Ti(Nb)O 전자추출층을 만들어서 perovskite를 습기로부터 보호하려고했다. 전기적 전도도가 꾸져서 저자는 TiNbO의 두께를 10nm까지밖에 못만든다고 했다.
게다가 졸-겔법으로 만든 층은 꾸진 permeation barrier를 만든다고 알려져있다.
그래서 추가적 보호막(encapsulation)을 만들어도 수명이 1000시간었다. ( 1000시간이면 35일정도 될라나? 41일이군 여튼 못씀)
Kaltenbrunner는 ~
Guerrero는 ~
Bush는 ~
각자의 일을 열심히하였다.
이 논문에서는 뭘 만들었냐면은
inverted cell구조에서 , bilayered ( Al-ZnO한층, Al-SnO 한층) 전자추출층 (electron-extraction layer) 이 열과 습기로부터 perovsktite solar cell을 보호하는층을 만들어 보았다.
AZO ( Al-ZnO 알류미늄A 징크Z 옥사이드O )는 전자 추출하기 좋다 (from lowest unoccupied molecular orbital of fullerenes. C60 풀러렌은 왜나오는 것일까 의문이지만 일단은 다 읽는게 급하다.)
하지만 nanoparticle based AZO층은 외부의 습기유입, 내부의 perovskite 자기분해물질의 유출과 같은것을 충분히protection 해주지 않느다.
그래서 SnOx 층을 넣어서 EEL(전자추출층)에 Bilayered 해보았다.
SnO층은 ALD 방식으로 80도로 만드니 핀홀효과도(pin-hole free)없고 밀도가 높고(dense) Conformal 한 구조로 만들어졌다. (conformal이라는 말은 들어도 들어도 모르겠다. 아마 어느한 점에서 어느쪽으로도 각이 같은 ? 이런 의미일까)
주변 공기와 온도저항을 높이기 위해 ALD층을 직접 쌓은 경우도 있지만 이러한 ALD층은 소자의 기능적 층이 아니고 대부분의 실험은 전기적 절연체(Al2O3)를 통해 실험을 하였다. (이게무슨말이냐 뜬금없이 ...)
ALD를 통해 증착시킨 SnO 은 높은 투과성 ,전기적 전도성을 가지고 gas permeation barrier도 좋다.
water vapour transmission rate 수증기 투과 속도도 낮다.
스퍼터된 ITO보다, ITO용액으로 만든 metal oxide 층보다 수증기 투과속도가 낮다.
전기전도성이 좋아 sensitive electrode 와 photoactive layer 사이에 추가적인 직렬저항발생없이 잘 있을수 있다.
그러므로 SnO는 습기로부터 보호도 잘되고 permeation barrier 로 인해서 decomposition production가 나가는것도 막는다.
SnO 의 sealing 특성 너무나도 좋다. 분해도 막는다. 그래그래
LiF/AL 은 23도 50% 상대습도에서 수십시간밖에 못버티지만 AZO/SnOx 는 350h이상이나 버텼다.
60도 inert 상태에서 AZO는 100시간 버티지만
AZO/SnOx EEL은 1000시간 넘게 버텼다.
우리의 논문은 광활성 물질의 경우 본질적인 조성 안정성에 대한 우려가있을 수있는 장치 수명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키는 일반적인 전략을보고합니다. (마지막줄은 귀차느니 구글 번역... 헷)
result를 읽기에 이미 너무 지쳤다. 왜냐하면 내용파악도 못한 읽어야 할 논문이 더 남았기 때문이지 ...
---------------------------------------------------------------------------------------------------------------
4/9(월)다시 시작
Results
panar inverted cell 에서 홀은 bottom electrode를 통해 뽑아내고 그거는 PEDOT:PSS이다
SnO 20nm
AZO 100nm
PCBM 두께 100nm( 아직 PCBM이 먼지 모르겠다)
Perovskite층은 180nm
PEDOT:PSS ( hole-extraction layer)
Disscusion
오랜만에 수영장에 갔다.
갔는데 수영 코치 선생님이 중학생에서 엄청나게 혼을 내며 가르치고 있었고
중학생 아이들의 표정은 무척 안좋았다.
그때 내가 느낀것은 저 아이들은 무언가를 위해 저렇게나 열심히 일을 하는데
요즘의 나는 지금 무엇을 하고 있는가였고 반성이 되었고
그 아이들의 열정과 노력에 약간의 눈물이 났다.
요즘 공부를 심하게 안한다. 지금의 공부가 가장 중요한데도 말이다.
2012년 2013년 2014년 2015년 2016년 2017년 되돌아보면 후회만으로 보냈지만
2018년은 2019년에 되돌아 봤을때 후회없는 해로 만들고 싶다.
2018년의 98번째 날
다시 가계부를 써보자 (1) | 2018.05.27 |
---|---|
20180527 (0) | 2018.05.27 |
2018.02.05 (0) | 2018.02.05 |
2018.01.17 (0) | 2018.01.17 |
2018.01.06 (0) | 2018.01.07 |
keyword
용액(solution)
용질(solute)
용매(solvent)
electrode ( 전극)
양극 음극 / +극 -극 / anode cathode
anode ( 애노드 : 물질의 산화가 일어나는 전극 )
cathode ( 캐소드물질의 환원이 일어나는 전극 )
oxidation (산화 : 전자를 잃음)
reduction (환원 : 전자를 얻음)
Redox ( 산화-환원반응)
산화제 (oxidizing agent, oxidant, oxidizer, oxidiser)
환원제 (reducing agent, reductant, reducer)
full cell , half cell (완전셀 ,반쪽셀)
half reaction (반쪽반응)
OCV (Open circuit voltage)
Double Layer ( EDL : electrical double layer 전기적 이중층 )
Electrode 전극
Electrolyte 전해질
Electrolysis 전해 ( Water electrolysis 수전해, 물 전기분해)
Polarization 분극 ( Polarized 분극된
Alkali 알칼리 ( alkaline 알칼리의)
Acid 산 ( Acidic 산성의 )
Base 염기 ( Basic 염기의)
Passivation (부동태)
볼타전지
다니엘전지 - 볼타전지의 분극현상 , 염다리를 통해 제거
갈바니전지
Salt bridge (염다리)
Membrane (멤브레인,막 : 물질[보통 이온]이 선택적으로 투과 가능한 막)
이상적 분극전극 (Ideal polarizable electrode)
이상적 비분극전극 (Ideal non-polarizable electrode)
Standard hydrogen electrode ( SHE 표준수소전극)
EMF (electromotive force, electromotance 기전력)
패러데이 전기분해 법칙(Faraday's law)
네른스트 식
Potentiostat 정전위
Potentiodynamic 동전위
Galvanostat 정전류
Galvanodynamic 동전류
3전극셀
작업전극(Working electrode)
상대전극(Counter electrode, Auxiliary Electrode)
기준전극(Reference electrode)
Rotating disk electrode
Rotating ring disk electrode
SCE (Saturated Calomel electrode )
전기화학실험
EIS (Electrochemical Impedance Spectroscopy, 전기화학 임피던스 분광법)
직렬 <-> 병렬
직류 <-> 교류
직류에서의 저항 - 저항 R ( resistance ) ※ 비저항 (resistivity)
교류에서의 저항 - 임피던스(Impedance)
임피던스 = 저항 R (resistance) + 리액턴스
임피던스 = [저항 + 커패시턴스](실수) + [인덕턴스](허수)
※ 임피던스= 1/어드미턴스(admittance)
리액턴스 = 유도리액턴스(인덕턴스 inductance) + 용량리액턴스 (커패시턴스 capacitance)
저항 = 레지스턴스 / 전도도 = 컨덕턴스
R 저항
L 인덕터(코일)
C 커패시터 (축전지, 콘덴서)
Nyquist식
LSV (Linear Sweep Voltammetry, 선형주사전위법)
CV (Cyclic Voltammetry)
CA (Chrono Amperometry)
SV (Stripping Voltammetry)
CP (ChronoPotentiometry)
연료전지
활성화손실
저항성손실
Ohmic손실
촉매(catalyst) 촉매작용(catalysis)
건전지 (dry cell)
축전지
슈퍼캐패시터 (supercapacitor
1차전지 (Primary cell)
2차전지 (Secondary cell)
리튬이온배터리(Lithium-ion battery)
Activity (활동도)
Activity coefficient (활동도계수)
공부사이트
http://www.qrins.com/tt/site/ttboard.cgi?act=read&db=echemnews&page=1&idx=139
http://www.wizmac.com/2015/lecture/board01_view.htm?No=3&Sub_No=8
http://blog.naver.com/PostThumbnailView.nhn?blogId=atfrontier&logNo=220468428652&categoryNo=20&parentCategoryNo=&from=postList
http://blog.naver.com/PostView.nhn?blogId=atfrontier&logNo=10029479221&parentCategoryNo=&categoryNo=21&viewDate=&isShowPopularPosts=true&from=search
https://en.wikipedia.org/wiki/Category:Electrochemistry
http://www.ecochemie.nl/Applications/
핸드폰 충전속도 컴퓨터와 충전기 다른이유 (0) | 2018.06.07 |
---|---|
RMS Roughness (0) | 2018.04.17 |
CV법 Cyclic Voltammetry 전기화학분석 (0) | 2018.04.01 |
젖음성 wetting (0) | 2018.03.26 |
재무제표 보는법 (0) | 2018.01.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