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석기기 용어

2018. 6. 15. 11:49 from 메모

http://www.mechapia.com/dictionary/manual_view.php?bC=45&mC=159&lN=1345&clist=&key=&cpage=2&s_skill_text=


분석기기 용어


■ M-화학 KS M 0124 분석 화학 용어 (분석 기기 부분)

1. 100퍼센트 조절 (투과 퍼센트의)  (100% abhustment (of percent transmission)) 
 
  투과 퍼센트 눈금의 지시게 지시를 100퍼센트 눈금에 맞추는 조작 
 
2. 2배각 회전 메커니즘  (2Θ-Θ rotation mechanism) 
 
  측각기에서 시료축과 수광 슬릿축 (계수관 축)이 1:2의 비로 회전하는 메커니즘. 
 
3. 2중 빛살 방식  (double beam mode) 
 
  광원으로부터의 빛을 도중에 측광쪽과 대상쪽으로 나누는 광학계의 1가지 방식 
 
4. 2중 집중식 질량 분석계  (double-focusing mass spectrometer) 
 
  자기장과 전기장을 조합하여 사용하며, 이온 살의 방향 집속 및 속도 집속을 하는 방식의 질량 분석계 
 
5. 2중광로 방식  (double pass mode) 
 
  분산을 크게 하기 위하여 분산소자에 의해 빛살을 2회 통과시키는 광학계의 1가지 방식 
 
6. 2중파장 분광법  (double wavelength spectrometry) 
 
  측정시료에 파장이 다른 2개의 단색 빛살을 통과, 반사 또는 흡수시켜 그들의 광세기를 측정하는 방식 
 
7. 2차 과녁  (secondary target) 
 
  분석선을 효과적으로 들뜨게 할 수 있는 형광 X선 (고유 X선)을 발생시키기 위하여 사용하는 과녁. 
 
8. 2차 이온 질량 분석계  (secondary ion mass spectrometer (SIMS)) 
 
  1차 이온(또는 중성입자)살을 시료에 조사했을 때에 방출되는 2차 이온의 질량 분석계 
 
9. 2차원 전기영동  (two-dimensional electrophoresis) 
 
  원리가 다른 2종류의 전기영동을 차례로 조합하여 하는 전기영동. 
 
10. 4중극자 질량 분석기  (quadrupole mass spectrometer (QMS)) 
 
  고주파 전압과 직류 전압을 결합시킨 4중극을 사용하여 이온을 질량/전하수에 따라 분리하는 방식의 질량 분석기 
 11. 4축형 측각기  (four-circle goniometer) 
 
  X선에 의한 결정구조를 해석하기 위하여 계수기와 단결정 시료의 위치를 4개의 축을 사용하여 자유롭게 설정할 수 있도록 한 측각기. 
 
12. 90% 응답 시간  (90 % response time) 
 
  연속 측정식의 연속 분석계에 의한 계측에서 측정대상의 농도를 영에서부터 고농도로 바꾸었을 때 또는 그 반대로 하였을 때, 분석계의 지시가 절환시간으로부터 최종값의 90%에 상당하는 점에 도달하는데 필요로 하는 시간. T90으로 표시한다. 
 
13. 가소도계 (석탄의)  (plastometer (for coal)) 
 
  석탄을 가열했을 때 연화 용융성을 측정하는 장치. 
 
14. 가이거-뮬러 계수기  (Geiger-Meuller counter) 
 
  가이거-뮬러 영역에서 작동시키는 기체 충전 계수관 
 
15. 각도 표시기  (angle mark, event mark) 
 
  측각기로부터 각도 신호의 기록 
 
16. 걸리는 시간  (hung-up) 
 
  연속 측정식 연속 분석계에 의한 계측에서 측정대상의 농도를 어떤 농도에서 영의 농도로 바꾸었을 때 지시가 영으로 복귀하기까지에 걸리는 시간. 
 
17. 검정용 기체  (calibration gas) 
 
  계측기의 눈금 검정에 사용되는 표준 기체, 영점 기체, 스팬 기체, 중간점 기체 등이 있다. 
 
18. 검정용 입자 (부유 입자상 물질의)  (calibration particle (of floating dust)) 
 
  계측기의 상대감도 검정에 사용되는 입자. 
 
19. 격막 주입방식 (시료 주입의)  (septum injection type (of sample injection)) 
 
  탄성 고무격막을 끼워서 시료를 주사기로 주입하는 방식. 
 
20. 계수 손실  (counting loss) 
 
  높은 계수속도로 X선 세기를 측정하는 경우, 입사 X선 세기와 측정된 계수속도 사이의 비례관계가 붕괴되는 현상
 
21. 계수의 통계적 오차 (방사선 계측의)  (statistical error of counting (of radiation measure)) 
 
  방사선 계측에서 계수값의 오차. 통상, 표준편차로 표시한다. 
 
22. 고속 액체 크로마토 그래프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 (HPLC)) 
 
  입자지름이 작고 균일한 칼럼 충전제를 사용하고 용리액을 펌프 등에 의해 가압하여 고압 하에서 칼럼을 통과시킴으로써 고속으로 분리, 정량하는 장치. 
 
23. 고속 원자충격 이온화  (fast atom bombardment ionization (FAB)) 
 
  고속(몇 keV)의 원자를 금속판 위에 도포한 시료에 충돌시켜서 이온화시키는 것. 주로 비휘발성 화합물의 측정에 사용된다. 
 
24. 고유 안전회로  (intrinsically safe circuit ) 
 
  기기의 정상적인 작동조건에서나 정해진 고장상태에서 발생하는 전기 불꽃이나 열의 영향에 의해 정해진 폭발성 분위기로의 점화가 일어나지 않는 회로. 
 
25. 고정 계수법  (fixed count method) 
 
  일정한 계수값을 설정하고 계수가 그 설정값에 도달할 때까지의 시간에 따른 X선 세기를 측정하는 방법 
 
26. 고정 시간법  (fixed time method) 
 
  일정한 시간을 설정하고 그 시간 내에 측정되는 계수값에 의한 X선 세기를 측정하는 방법 
 
27. 고체 전해질  (solid electrolyte) 
 
  이온전도를 하는 고체물질의 총칭 
 
28. 곡선 (열법분석의)  (curve (for thermal analysis)) 
 
  열법 분석 장치에 의해 아날로그 기록으로서 얻은 각종 특성값을 도시한 그림. 
 
29. 공정 분석계  (process analysis) 
 
  주로 생산공정에 사용되는 정치형으로 연속 또는 간헐형 분석장치. 
 
30. 과학 필터  (optical filter) 
 
  특정 파장영역의 빛을 통과시키고 다른 파장영역의 빛을 흡수하는 품질로 이루어진 층을 사용하여 특정 파장영역의 빛을 빼내기 위해 사용하는 광학 소자
31. 광 다이오드  (photodiode) 
 
  빛의 조사에 의해 전력을 발생하는 성질을 갖는 물질을 이용한 광검출 소자 
 
32. 광도계  (photometer) 
 
  빛의 세기를 측정하는 장치 
 
33. 광원  (light source) 
 
  분광 분석기기에서 광파(광량자)를 발생, 복사시키는 부분 
 
34. 광이온화 검출기  (photoionization detector (PID)) 
 
  자외선빛에 의해 분석대상 성분을 이온화시켜 이온전류를 측정함으로써 검출하는 기체 크로마토그래프용 검출기. 
 
35. 광전 광도법 (발광 분광 분석의)  (photoelectric photometry (of emission spectrochemical analysis)) 
 
  분광기에서 분산된 스펙트럼선에 대응하는 위치에 광전 검출기를 배치하고 동시에 타원소를 측정하는 방법 및 통상의 분광 광도계와 같은 형태의 구조로서 신속하게 파장을 주사하고 광전방식으로 측정하는 방법 
 
36. 광전관  (phototube) 
 
  빛의 조사에 의해 전자를 방출하는 음극과 전자를 받아 취하는 양극을 유리관 내에 봉입한 것으로서 관 내에 중간전극을 설치하지 않은 광 검출소자 
 
37. 광전도 셀  (photoconductive cell) 
 
  빛의 조사에 의해 저항이 변하는 현상을 이용한 광 검출소자 
 
38. 광전자 증배관  (photomultiplier) 
 
  광전관과 같은 형태의 광전자 메커니즘을 갖지만 광전자를 발생하는 음극과 양극 사이에 전자를 증가시키기 위한 1개 이상의 중간전극을 설치한 광 검출소자 
 
39. 광전지  (photocell) 
 
  금속, 반도체 등의 내부 광전효과를 이용한 광 검출소자. 광 기전력셀이라고도 한다 
 
40. 광학적 영점법  (optical null method) 
 
  다색 빛살 방식의 분광 분석기기에서 시료쪽 빛살으 광량과 기준시료쪽 빛살의 광량이 같아지도록 기준시료쪽 빛살쪽에 설치한 광감쇄기를 넣었다 뺐다하여 그 변위로부터 투과도를 구하는 방법 
 41. 균일계 단분산 입자 (부유 입자상 물질의)  (homogeneous dispersive patricle (of floating dust)) 
 
  입자를 구성하는 물질이 균일하고 계측기의 상대감도 교정에 지장이 없을 정도로 좁은 입자지름 분포를 갖는 교정용 입자. 
 
42. 기니에 카메라  (Guinlier camera) 
 
  초점원 상에 필름을 설치하고 회절 X선을 검출하는 집중법 X선 카메라의 일종 
 
43. 기본 봉우리  (base peak) 
 
  질량 스펙트럼의 상대 이온세기를 나타낼 때 기준으로 하는 봉우리. 통상, 최대 세기를 갖는 봉우리를 기본 봉우리로 한다. 
 
44. 기압식 용기  (pneumatic cell) 
 
  기체의 열팽창에 의한 압력변화를 이용한 적외선 검출기 
 
45. 기울기 용리법  (gradient elution) 
 
  액체 크로마토그래피에서 용리액의 조성을 변화시키면서 시료를 전개, 분리하는 방법. 용리액의 pH 값이나 유량을 순차적으로 변화시키는 유로 프로그래밍도 이용된다. 
 
46. 기준 용기 (흡광 광도 분석의 )  (reference cell (of molecular absorptiometric method)) 
 
  용매 또는 기준 용액을 넣는 흡수 용기 
 
47. 기준 전극  (reference electrode ) 
 
  표준 수소전극에 대하여 알고 있는 전위를 갖고 있으며 작업전극 또는 지시전극의 전위차를 측정할 때 기준으로 사용하는 전극
칼로멜 전극, 은-염화은 전극 등이 있다. 
 
48. 기준물질 (열법분석의)  (reference materials (for thermal analysis)) 
 
  열법분석에서 시료의 열적 변화와 비교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물질. 
 
49. 기체 크로마토 그래프 질량 분석계  (gas chromatograph mass spectrometer (GC/MS)) 
 
  기체 크로마토그래프와 질량 분석기를 모세관 또는 분리기로 결합시킨 분석 장치 
 
50. 기체 크로마토그래프  (gas chromatograph) 
 
  기체시료, 기화된 액체 또는 고체 시료를 운반기체로 칼럼 내에 전개시켜 각 성분으로 분리시켜 검출하고 정량하는 장치.
 51. 기체밀도 안정기  (gas density stabilizer) 
 
  기체 계수관에 의한 X선 세기의 안정한 측정을 위해 기압 및 온도의 변화에 대해 기체밀도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장치 
 
52. 내부 전극  (internal electrode) 
 
  내부용액을 갖고 있는 이온전극의 내부 용액 중에 삽입된 기준 전극 
 
53. 내압 방폭용기  (pressurized enclosure) 
 
  용기 내의 보호 기체를 주위의 폭발성 분위기의 압력보다 높은 압력으로 유지함으로써 폭발성 분위기의 내부로의 침입을 방지하는 방폭 용기. 
 
54. 내염 방폭용기  (flameproof enclosure) 
 
  내부 폭발의 압력에 견디고 용기 외의 폭발성 분위기에서 폭발을 전달하지 않는 방폭용기. 
 
55. 냉각 기체  (coolant gas) 
 
  유도결합 고주파 플라스마에서 토치를 냉각시키기 위해 흘려주는 기체. 플라스마 기체와 겸하는 수가 많다. 
 
56. 냉증기 원자흡수  (cold vapor atomic absorption) 
 
  시료를 환원기화 또는 가열기화시켜 얻은 상온의 원자증기에 의해 빛의 흡수를 측정하는 방식 
 
57. 냉필터 막힘점 분석기 (석유 제품의)  (cold filter plugging point analyzer (for petroleum product)) 
 
  시료유체를 냉각하면서 규정된 필터를 규정된 압력으로 흡입 여과시킬 때, 액체의 온도 하강과 함께 시료유체가 소정의 시간 내에 필터를 통과하지 않게 될 때의 온도를 측정하여 필터 막힘점으로 하는 계기. 
 
58. 녹는점 측정장치  (melting-point apparatus) 
 
  고체시료의 녹는점 또는 분해점을 측정하는 장치. 시료를 녹는점 측정관, 유리판 등의 사이에 넣고 전체를 적당한 중탕에 담가서 고상에서 액상으로 변화될 때 중탕의 온도를 측정하는 장치. 
 
59. 농도 기울기 전기영동  (gradient electrophoresis) 
 
  이동상 중에 첨가제 또는 겔의 농도 기울기를 만들어 시료의 분자량에 따라 분리하는 전기영동. 
 
60. 농도 전지  (concentration cell) 
 
  전극과 전극활성 물질이 같은 종류이고, 전극활성 물질의 농도 또는 분압만이 다른 반쪽전지를 조합한 전지 
 61. 다색화 장치  (polychromator) 
 
  입사광을 분산소자에 의해 분산시켜 목적으로 하는 1군의 단색광을 동시에 얻어내는 장치 
 
62. 단색화 장치  (monochromator) 
 
  입사광 중에서 특정 파장의 단색광을 얻어내는 장치 
 
63. 단속 측정  (intermittent measurement) 
 
  일정 시간 또는 시료의 일정량 간격으로 주기적으로 측정하는 것. 
 
64. 단일 빛살 방식  (single beam) 
 
  광도계나 분광 광도계에서 광원으로부터 측정부 사이에서 광로가 전혀 갈라지지 않는 방식 
 
65. 단일 집중식 질량 분석계  (single-focusing mass spectrometer) 
 
  단일 자기장을 사용하여 이온살의 방향 집중만을 하는 방식의 질량 분석계, 통상적으로 섹터형의 일정한 자기장을 사용한다. 
 
66. 담금형 (검출기의)  (immersion type (of detector)) 
 
  pH미터, ORP 미터, 용존 산소계 등의 검출기 전체를 시료용액에 담가 측정하는 검출기의 형식. 
 
67. 대기압 이온화  (atmospheric pressure ionization (API)) 
 
  1기압의 기체 흐름 중에서 하는 일종의 화학 이온화, 반응 이온은 코로나 방전 등에 의해 만든다. 
 
68. 덧, 함정  (trap) 
 
  기체의 통로로 응결, 응집하기 쉬운 액체를 분리하기 위해 또는 역류를 방지하는 등의 목적으로 부착될 것. 
 
69. 동위체 이온  (isotopic ion) 
 
  존재비가 최대가 아닌 동위체를 포함하는 이온 
 
70. 동적 검정 (기계 분석의)  (dynamic calibration (of gas analysis)) 
 
  검정용 기체를 사용하여 실제와 같은 과정으로 하는 기기의 검정.
71. 두께 감응기  (caliper sensor) 
 
  제지공정 또는 필름 제조공정에서 시트모양의 피측정물의 두께를 전자기적으로 측정하는 장치. 
 
72. 등속 전기영동  (isotachophoresis) 
 
  선행액과 후속액의 경계점에 시료를 주입하고 각각의 시료성분을 전기영동 이동도 순서로 영동하면서 띠모양으로 농축하여 그 계면을 유지한 채 등속으로 영동하여 검출기에 도달시키는 전기영동. 
 
73. 등압 질량변화 측정  (isobaric mass-change determination) 
 
  소정의 온도 프로그램에 따라 휘발 생성물의 분압을 일정하게 유지하고 물질의 평형상태에서의 질량을 온도의 함수로서 측정하는 방법. 
 
74. 등전점 전기 영동  (isoelectric focusing electrophoresis) 
 
  pH 기울기가 형성된 영동상 즁에서 시료가 각 등전점의 위치에 들어가 분리되는 전기영동. 
 
75. 디바이-세러 카메라  (Debye-Scherrer camera) 
 
  원통 모양으로 놓인 필름의 중심측 상에 시료를 놓고, 시료로부터의 회절 X선을 필름에 노출시키도록 한 카메라. 분말 카메라라고도 한다. 
 
76. 딸 이온  (daughter ion) 
 
  어미 이온의 분열에 의해 생긴 이온
어미 이온의 반대어 
 
77. 떠돌이빛  (stray light) 
 
  단색화 장치로 분산시켜 얻어낸 빛 중에서 목적으로 하는 파장 이외 성분의 빛 
 
78. 띠 전기영동  (zone electrophoresis) 
 
  겔 등의 지지체를 사용하여 대류의 발생을 막고 대부분의 시료성분을 층모양으로 서로 겹치지 않고 분리하는 전기 영동. 
 
79. 라우에 카메라  (Laue camera) 
 
  X선 회절상을 측정하기 위한 라우에 법에 이용하는 카메라 
 
80. 레저 탈리  (laser desorption (LD)) 
 
  고체시료에 레이저광을 조사하여 기체상의 시료이온을 얻는 방법. 고체시료를 기화시킬 목적으로도 사용된다.
 
 81. 렌즈 전극  (lens electrode) 
 
  이온을 접속시키기 위한 전극 
 
82. 루프 제어  (loop control) 
 
  계측기로부터의 신호에 근거하여 제어 시스템의 각 긱 또는 그 통합 시스템의 작동을 제어하는 것. 신호경로의 일종으로서 열린 루프제어와 닫힌 루프제어로 구분된다. 전자를 순차제어, 후자를 되먹임 제어라고 한다. 
 
83. 마이크로 광도계  (microphgtometer) 
 
  감광재료 상에 촬영된 스펙트럼선 상의 흑화도를 측정하기 위한 장치 
 
84. 말피복 전극 (폴라로 그래피의)  (film-covered electrode (for polarograph)) 
 
  고체전극을 셀룰로스 유도체, 플루오르수지 등으로 피복한 전극 
 
85. 면역 전기영동  (immunoelectrophoresis) 
 
  전기영동과 조합한 항원항체 반응에 의한, 항체 또는 항원을 검출하여 정량하는 방법. 
 
86. 모세관 전기영동  (capillary electrophoresis) 
 
  안지름 1mm 이하의 모세관을 사용하는 전기영동, 무담체, 폴리아크릴아미드겔 등의 지지체를 사용하는 경우가 있다. 
 
87. 모세관 칼럼  (capillary column) 
 
  안지름 0.5mm 이하인 속빈 칼럼 및 안지름이 1mm 이하인 충전 칼럼의 총칭. 
 
88. 무격막 주입방식 (시료 주입의)  (septumless injection type (of sample injection)) 
 
  액의 흐흠을 막고 시료 도입구의 마개를 열어 시료를 계량관에 주입하는 방식. 
 
89. 무반사 시료집게  (reflection free sample holder) 
 
  시료집게 자신에 의한 회절 X선이 나타나지 않도록 만들어진 시료 집게 
 
90. 무전극 방전등  (electrodeless discharge lamp) 
 
  금속 할로겐화를 등을 봉입하고 고주파 방전에 의해 점화하는 방전관, 원자 흡광법에서의 광원으로서 사용한다. 
 
 91. 미분 시차 열분석  (derivative differential thermal analysis) 
 
  시차 열곡선의 1차미분을 이용하는 시차 열분석. 
 
92. 미분 열무게 측정  (derivative thermogravimetry (DTG)) 
 
  열무게 곡선의 1차미분을 이용하는 열무게 측정. 
 
93. 미분 열팽창 측정  (derivative thermodilatometry) 
 
  열팽창 곡선의 1차미분을 이용하는 열팽창 측정. 
 
94. 미분 펄스 폴라로 그래피  (derivative, pulse polarography) 
 
  펄스모양의 전압을 가하여 얻어지는 폴라로그램의 미분계수를 해석하여 하는 분석방법 
 
95. 미소 전극  (micro electrode) 
 
  (1) 미소한 전극의 총칭. 
(2) 미소한 표면적을 가진 전극의 총칭.
플라로그래피, 전류적정에 사용되는 수은전극, 회전 백금전극 등이 있다. 
 
96. 바탕 대등 농도  (background equivalent concentration) 
 
  바탕에 의한 신호와 같은 신호를 주는 분석 대상성분의 농도 
 
97. 반도체 검출기  (semiconductor detector) 
 
  X선에 의한 고체물질의 이온화 작용을 이용한 X선 검출기. 보통 Si(Li), Ge 등이 사용된다. 
 
98. 반발기 전극  (repeller electrode) 
 
  질량 분석계의 이온화 상자에서 이온을 이온의 질량분리가 이루어진 부분(분석기)의 편으로 밀어내기 위한 전극 
 
99. 반사율  (reflectance) 
 
  빛이 물질의 표면에서 반사하는 비율을, 기준으로 하는 물질로부터의 반사광 세기와 대상물질 표면으로부터 세기와의 비로 나타낸 것 
 
100. 반응 이온  (reactant ion) 
 
  화학이온화 법에서 시료기체로부터의 이온 중, 시료를 이온화시키는데 도움이 되는 이온
101. 반쪽 전지  (half cell) 
 
  이온전도체상 중에 1개의 전극을 삽입한 시스템 
 
102. 반파 전위  (half-wave potential) 
 
  직류 폴라로그래피에서 폴라로그램의 파높이 반의 전류값을 주는 전위 
 
103. 발광 분광광도계  (emission spectrophotometer) 
 
  빛, 열, 전기 등의 에너지를 외부로부터 시료에 주어 원소 또는 화합물을 들뜨게 하여 방사되는 발광 스펙트럼을 측정하는 장치 
 
104. 발산 슬릿  (divergence slit) 
 
  X선 회절장치에서 X선의 발산각을 제한하기 위한 슬릿 
 
105. 발생 기체분석 (열법 분석의)  (evolved gas analysis (for thermal analysis) (BGA)) 
 
  시료의 온도를 소정의 프로그램에 따라 변화시키면서 그 시료로부터 방출되는 휘발성 생성물의 종류 및 양을 온도의 함수로서 분석하는 방법. 
 
106. 방습  (moisture-proof) 
 
  분위기의 침입에 의해 장치내부에 결로현상이 생기지 않도록 또는 결로되더라도 기능에 지장을 초래하지 않도록 하는 기술적인 수법. 
 
107. 방적  (drip-proof) 
 
  장치 외부에 물방울 비말이 있어도 그 기능에 지장이 없도록 하는 기술적인 수법. 
 
108. 방출기  (emitter) 
 
  시료를 이온화시키기 위해 장 탈착, 장 이온화, 화학이온화 등에서 사용되는 시료집게, 이것에 정 또는 부의 전압을 가해준다. 
 
109. 방폭  (explosion-protection) 
 
  기기가 점화원이 되어 그 주위에서의 폭발성 분위기에 점화되지 않도록 하는 기술적인 수법. 
 
110. 방향 집속  (direction focusing) 
 
  1점으로부터 가속, 사출되어 그 질량/전하수 및 에너지가 같고 방향이 약간 다른 이온 살이 다시 1점에 수집되는 것. 통상, 이 목적으로 섹터 모양의 일정한 자기장이 사용된다. 
 
 111. 밸브 주입방식 (시료 주입의)  (valve injection type (of sample injection)) 
 
  흐름 절환 밸브에 장착된 루프모양의 계량관에 시료를 가득 채우고 밸브 절환 조작에 의해 시료를 이동상 안에 도입하는 방식. 
 
112. 변환기 (질소산화물 분석계의)  (converter (for continuous analysers for oxides of nitrogen)) 
 
  이산화질소를 일산화질소로 또는 일산화탄소를 이산화탄소로 변환시키는 장치. 
 
113. 보조 기체  (auxiliary gas) 
 
  유도결합 고주파 플라스마에서 플라스마를 위쪽으로 띄우기 위해 보조적으로 사용하는 기체 
 
114. 보조 전극 (발광 분과 분석의)  (auxiliary electrode) 
 
  시료전극의 일종으로서 시료만으로 전극을 형성하지 못하는 경우에 시료를 방전장 내에 유지하기 위한 전극, 시료의 성상, 형태에 따라 적합한 모양의 것을 사용한다 
 
115. 복합 채수기  (composite water sampler) 
 
  흐르는 물의 유량에 비례한 시료량을 연속 또는 간헐적으로 일정한 시간 자동으로 채취하여 시료용기에 넣어 혼합시료로 하고 이것을 저온 보존하는 장치. 
 
116. 봄베 열량계  (bomb calorimeter) 
 
  내압, 내식성의 밀폐용기를 사용하고 시료를 고압산소의 존재 하에서 연소시켜 온도상승으로부터 시료의 발열량을 측정하는 장치. 단열식과 비단열식이 있다. 
 
117. 부가 이온  (adduct ion) 
 
  이온화 상자 내에서 이온과 분자의 부가 반응에 의해 생긴 이온 
 
118. 부에게 세차 카메라  (Buerger-precession camera) 
 
  단결정 시료의 역격자상을 비뚤어지지 않게 촬영하는 장치의 일종 
 
119. 부유 입자상 물질 자동 계측기  (automatic monitor for atmospheric paticulate matter) 
 
  대기 중 부유 입자상 물질의 농도를 연속적으로 측정하는 장치. KSB 3278의 광산란 방식, β선 흡수방식 및 압전천칭 방식이 규정되어 있다. 
 
120. 분광 결정  (analyzing crystal) 
 
  결정에 의한 X선의 회절현상 등을 이용하여 X선의 파장을 선택하기 위한 소자

121. 분광 광도계  (spectrophotometer) 
 
  분광계 중에서 광량을 육안법 또는 광전법 등으로 정량적으로 측정할 수 있도록 한 장치 
 
122. 분광 형광광도계  (fluorescence spectrophotometer) 
 
  들뜸광이나 형광 어느편의 파장 선택부에도 단색화 장치를 사용하여 형광을 측정하는 장치 
 
123. 분광광도[계] 검출기  (spectrophotometric detector) 
 
  내장된 분광기로 임의 파장을 선택하고 그 빛의 흡수를 이용한 액체 크로마토그래프용 검출기. 
 
124. 분광기  ((1) spectrograph, spectrometer
(2) spectroscope) 
 
  (1) 1 개의 광원으로부터의 빛을 분산시켜 1 개의 초점면 위의 파장순으로 슬릿상을 형성시키는 장치
(2) (1)의 장치로 스펙트럼을 눈으로 관찰할 수 있도록 한 장치 
 
125. 분광사진법 측정 (발광 분광분석의)  (spectrographic measurement (of emission spectrochemical analysis)) 
 
  분광기로 분산된 스펙트럼을 사진 감광 재료에 노출시켜 스펙트럼 사진을 얻는 방법 
 
126. 분리기  (separator) 
 
  기체 크로마토그래프와 무게 분석계를 연결한 부분에서 운반기체의 대부분을 분리제거하여 시료를 농축하기 위한 장치 
 
127. 분무기  (nebulizer) 
 
  불꽃이나 플라스마 등에 시료를 도입하기 위해 시료용액을 흡입하여 분무하여 안개모양의 입자로 만드는 장치 
 
128. 분산 (광분석의)  (dispersion (of optical analysis)) 
 
  각종의 파장성분을 포함하는 빛을 프리즘이나 회절발을 사용하여 각 성분마다의 빛으로 나누는 것 
 
129. 분산 소자  (despersive device) 
 
  각종 파장성분의 빛을 포함하는 빛을 분산시키기 위한 광학소자 
 
130. 분자 이온  (molecular ion) 
 
  분자가 분열되지 않고 생긴 이온
 131. 분해능  (resolution, resolving power) 
 
  질량수 M과 M + ㅿM에 상당하는 인접한 봉우리가 구별가능할 때, 그 최소의 M에 대해 구한 M/ㅿM을 말한다. 10% 골법, 반치폭 법에 의해 표시하는 방법도 있다. 
 
132. 불꽃 광도계  (flame photometer) 
 
  시료를 불꽃에 도입하여 분석원소의 방출스펙트럼 세기를 측정하는 장치 
 
133. 불꽃 광도법 검출기  (flame photometric detector (FPD)) 
 
  환원성 수소불꽃 중에 황화합물, 인 유기화합물을 도입하여 황 또는 인에 의한 발광을 측정하여 선택적으로 검출하는 기체 크로마토그래프용 검출기. 
 
134. 불꽃 분광광도계  (flame spectophotometer) 
 
  파장 선택부에 단색화 장치를 설치한 불꽃 광도계 
 
135. 불꽃 열이온화 검출기  (flame thermionic detector (FTID)) 
 
  수소불꽃 중에 알칼리염 또는 알칼리토금속염을 존재하게 하여 질소 화합물이나 인 유기화합물의 이온화를 촉진시켜 그들 성분의 검출감도를 선택적으로 높이는 기체 크로마토그래프용 검출기. 
 
136. 비공명 스펙트럼을 사용하는 바탕 보정시스템 (원자흡광 분석의)  (background correction system using nonresonance spectrum (for atomic absorption spectrometry)) 
 
  속빈 음극등으로부터 발생하는 분석대상 원소의 공명선에 근접한 스펙트럼 선을 바탕보정에 이용하는 바탕 보정법의 한 방식 
 
137. 비례 계수관  (proportional counter) 
 
  X선에 의한 기체의 이온화 작용을 이용한 비례 영역에서 작동하는 X선 검출기. 광량자 1개당 펄스전류가 입사 X선의 에너지에 비례한다. 
 
138. 비메탄 탄화수소 분석계  (non-methane hydrocarbon analyzer) 
 
  시료기체 중 메탄 이외의 탄화수소 총농도 또는 이것과 메탄 농도를 측정하는 자동 기체 크로마토그래프. 총탄화수소로부터 메탄을 빼는 방식에 의해 직접식과 차량식으로 분류된다. 
 
139. 비분산  (non-dispersion) 
 
  분산소자를 사용하지 않고 필터, 선택성 검출기 등을 사용함으로써 분산과 동일한 효과를 얻는 것 
 
140. 비분산형 적외선 기체 분석계  (non-dispersive infrared gas analyzer) 
 
  넓은 영역의 적외선을 기체에 방사시켜 특정한 영역을 흡수함으로써 특정 파장의 적외선 흡광도를 측정하는 기체 분석계. 
 
 141. 비행시간 질량분석계  (time-of-flight mass spectrometer (TOF)) 
 
  이온을 펄스 모양으로 전기장이 없는 영역에 입사시켜 비행속도 차이에 의해 이온을 질량/전하수에 따라 분리하는 방식의 질량 분석계 
 
142. 빔 내법  (in-beam method (IB)) 
 
  이온화 상자 내에 삽입한 고체시료를 전자 살에 접촉 혹은 접근시키든가 또는 화학 이온화에 의해 이온화시키는 방법 
 
143. 사전 연소 (방전)시간 (발광분광 분석의)  (preburn (predischarge) time (for emission spectrochemical analysis)) 
 
  분석에 앞서 스펙트럼선 세기가 안정될 때까지 하는 방전시간. 방전시간은 스펙트럼선 세기-시간 곡선 등으로부터 미리 구한다. 
 
144. 사전 차단 흐름  (pre-cut flow) 
 
  분석을 방해하는 성분이나 성분국 또는 어떤 범위의 용출구분을 제거 혹은 취출하기 위한 시료도입의 흐름. 
 
145. 사전 혼합 버너  (premix burner) 
 
  연료기체, 조연기체 및 시료용액을 분무실에서 혼합하여 불꽃 중에 도입하고 분석대상 원소를 원자화 또는 들뜨게 하여 발광시키는 방식의 버너 
 
146. 산란 슬릿  (scattering slit) 
 
  시료 이외로부터의 산란 X선이 계수기에서 입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슬릿 
 
147. 산화환원 전위계  (oxidation-reduction potentiometer) 
 
  수용액 중의 산화제와 환원제의 활동도에 해당하는 평형전위를 측정하기 위한 전위차계 
 
148. 상대 감도 (부유 입자상 물질의)  (relative sensitivity (of floating dust)) 
 
  검정용 입자의 일정한 질량농도에 대한 계측기 지시치의 비율. 
 
149. 상대 감도계수  (relative sensitivity coefficient) 
 
  스파크 이온원 질량분석에서 어떤 원소의 스펙트럼선 1개를 기준(1.00)으로 했을 때의 각 원소 스펙트럼 선의 상대세기 
 
150. 상대 농도 (부유 입자상 물질의)  (relative concentration (of floating dust)) 
 
  질량농도와 일정한 상대적 관계에 있는 양을 측정함으로써 얻어지는 농도.
 
151. 상대 전극  (counter electrode) 
 
  전기분해해서 작업전극과 쌍으로 하여 사용되는 전극 
 
152. 색도계 (석유제품의)  (color meter (for petroleum product)) 
 
  시료유체의 착색도 또는 색도를 측정하는 장치. 
 
153. 생물학적 산소 요구량계, BOD 계  (biochemical oxygen demand meter) 
 
  물 속의 호기성 미생물의 호흡에 의해 소비된 산소를 측정하는 장치. 검출법에는 전기량법과 용존산소 전극법이 있다. 
 
154. 선구 이온  (precursor ion) 
 
  어떤 이온으로부터 별도의 이온 또는 중성 화학종이 생성될 때 원래의 이온을 말한다. 
 
155. 선택계수 (이온 전극의)  (selectivity coefficient (of ion electrode)) 
 
  수용액 중의 공존 이온이 측정대상 이온에 의한 전위에 미치는 영향의 정도를 나타내는 값 
 
156. 선택이온 검출  (selected ion detection (monitoring)(SID, SIM)) 
 
  특정한 질량수의 이온을 연속적으로 검출하는 것 
 
157. 세포 전기영동  (cell electrophoresis) 
 
  음의 전하를 갖는 동물세포 등을 대상으로 하는 전기영동. 
 
158. 속도법 (임상화학 분석의)  (rate assay (of clinic chemistry)) 
 
  액체 등의 시료에 함유되는 목적 물질과 특이하게 반응하는 시약을 가하고 그 반응량으로부터 목적물질을 측정하는 화학분석법에서 반응과정의 2점 이상을 계측하여 단위 시간당 변화량으로부터 농도 또는 활동도를 구하는 방법. 
 
159. 속빈 음극등  (hollow cathode lamp) 
 
  1개에서 몇 종류의 분석대상 원소를 포함하는 1개에서 몇 개의 속빈 음극 등을 저압의 네온 등과 같이 봉입한 방전관, 원자흡광 분광법의 광원으로서 사용한다 
 
160. 속빈 칼럼  (open tubular column) 
 
  충전제를 충전하지 않고 정지상이 되는 물질을 내벽쪽에 유지한 속빈 모양의 칼럼.
 
161. 수소 불꽃 이온화 검출기  (flame ionization detector (FID)) 
 
  수소의 연소열에 의해 유기 화합물의 골격 탄소를 이온화시키고 그 이온전류를 측정함으로써 분석성분 대상을 검출하는 검출기. 주로 기체 크로마토그래프에 사용된다. 
 
162. 수소 전극  (hydrogen electrode) 
 
  수소이온을 포함하고 있는 용액에 백금판을 담가 수소를 통기하면서 사용하는 전극. 
 
163. 수소화물 발생 장치  (hydride generation apparatus) 
 
  시료용액 중 분석대상 성분(보기를 들면, 비소, 셀렌, 안티몬 등의 화합물)을 환원시켜 기체 모양의 수소화물로 만들어 불꽃 또는 가열 흡수용기에 도입하느 장치 
 
164. 수은등  (mercury lamp) 
 
  적당한 압력의 수은 증기를 봉압한 방전등으로서 자외, 가시부이 비연속 스펙트럼을 발생하는 광원 
 
165. 수집기 슬릿  (collector slit) 
 
  질량 분리된 특정한 질량/전하수의 이온 살만이 검출계에 도입되도록 설치한 슬릿 
 
166. 슈만 건판  (Schumann plate) 
 
  극자외부 스펙트럼의 측정용 건판 
 
167. 스캐빈저 기체  (scavenger gas) 
 
  기체 크로마토그래프 칼럼의 아래 유로에서 합류되어 유량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사용하는 기체. 
 
168. 스파크 이온화  (spark ionization) 
 
  스파크 방전에 의해 시료를 이온화시키는 것 
 
169. 스팬 기체  (span gas) 
 
  계측기의 최대 눈금을 초과하지 않고 최대 눈금 근처의 눈금을 검정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검정용 기체. 
 
170. 슬러지 농도계  (sludge densitometer) 
 
  오수처리, 스럴지 처리 등의 공정에서 슬러지의 농도를 측정하는 장치. 방사선식, 초음파식, 빛의 투과 및 산란방식 등이 있으며 슬러지관 속에서 측정하는 것이 많다. 
 
 171. 슬롯 버너  (slot burner) 
 
  가늘고 긴 구멍으로 된 버너 
 
172. 시료 용기 (흡광 광도법의)  (sample cell (of absorptiometry)) 
 
  시료용액을 넣는 흡수용기 
 
173. 시료 전극 (발광 분광 분석의)  (sample electrode (of emission spectrochemical analysis)) 
 
  방전 전극으로 만든 분석시료 자체. 통상 흑연의 상대전극과 결합하여 사용한다. 
 
174. 시안계 (수질분석의)  (cyanide meter (for water quality analysis)) 
 
  물 속의 시안이온 농도를 이온전극법으로 측정하는 장치. pH값을 8.5이하로 조절하고 통기시켜 분리한 시안화수소를 격막형 이온전극으로 측정하는 방식 및 pH값을 12~13으로 조절하고 고체막 이온전극으로 측정하는 방식이 있다. 
 
175. 시약 기체  (reagent gas) 
 
  화학 이온화법에서 시료분자를 이온화하기 위해 사용하는 기체 
 
176. 시차 굴절률[계] 검출기  (differential refractometer detector) 
 
  용리액과 분석성분의굴절률 차이를 이용하여 검출하는 액체 크로마토그래프용 검출기. 
 
177. 시차 열분석  (differential thermal analysis (DTA)) 
 
  시료와 기준물질의 온도를 소정의 프로긂에 따라 변화시키면서 그 시료와 기준물질 사이의 온도차를 온도의 함수로서 측정하는 방법. 
 
178. 시차 열분석계  (differential thermal analyzer) 
 
  시차 열분석에 사용하는 장치. 
 
179. 시차주사 열량 측정  (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ry (DSC)) 
 
  시료와 기준물질의 온도를 소정의 프로그램에 따라 변화시키면서 그 시료와 기준물질에 대한 에너지 입력의 차이를 온도의 함수로서 측정하는 방법. 
 
180. 시차주사 열량계  (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er) 
 
  시차주사 열량측정에 사용하는 장치. 측정방법에는 입력보상 모드와 열유속 모드가 있다.
 181. 실리카계  (silica meter) 
 
  순수, 보일러 용수 등의 실리카성분을 측정하는 장치, 측정에는 몰리브덴블루 흡광광도법이 사용된다. 
 
182. 알카리도 분석계 (수질분석의)  (alkalinity analyzer (for water quality analysis)) 
 
  상수도의 정수과정 등에서 물의 산소비량을 측정하는 장치. 측정방법에는 전기량법 및 중화적정법이 있다. 
 
183. 액간 전위차  (liquid junction potential) 
 
  2종류의 전해질 용액이 접촉할 때, 그 조성차에 의해 양전해질 용액 간에 생기는 전위차 
 
184. 액간 접촉  (liquid junction) 
 
  염다리 등을 사용하여 2종류의 용액을 전기적으로 접속된 상태로 접촉하는 것 
 
185. 액체 크로마토 그래프 질량 분석계  (liquid chromatograph mass spectrometer (LC/MS)) 
 
  고속 액체 크로마토그래프와 질량 분석기를 결합시킨 분석장치 
 
186. 어미 이온  (parent ion) 
 
  분자이온 또는 토막이온이 갈라지는 토막내기를 할 때 원래의 이온 
 
187. 에너지 분산방식  (energy dispersive) 
 
  X선 에너지를 직접 전기펄스로 변환시켜 선별하고 분광하는 방식. 
 
188. 에너지 접속  (energy focusing) 
 
  질량/전하수 및 방향이 약간 다른 이온으로, 같은 에너지의 이온살이 접속되는 것. 보통 이 목적으로 섹터 모양의 일정한 전기장이 사용된다. 
 
189. 에셀 회절발  (echellette grating) 
 
  특수한 모양의 직선홈을 판 회절발로서 홈의 급경사면쪽에 빛을 입사시켜 1차, 2차의 회절선을 세게 회절시키는 것 
 
190. 여과기  (strainer) 
 
  액체 중의 고체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기구. 금속망 또는 다수의 작은 구멍을 뚫은 금속판 등을 배관에 부착하여 사용한다. 수증기 등에도 이용하는 수가 있다. 
 
 191. 역 플래시  (back fire, flash back) 
 
  버너에서 기체가 연소하고 있을 때, 연료 기체의 유속보다 연소 속도가 빨라져서 불꽃이 버너 내로 빨려 들어가서 연소하는 현상 
 
192. 연결 주사  (linked scanning) 
 
  2개 이상 이온의 질량 분리가 일어나는 부분(분석기)을 가진 질량 분석계에서 특정한 이온만을 검출하기 위하여 질량 분리부의 전기장 및 자기장을 일정한 방식에 따라서 동시에 주사하는 것 
 
193. 연료 기체 (검출기의)  (fuel gas (for detector)) 
 
  수소 이온화 검출기, 불꽃광도법 검출기 등에서 불꽃 형성을 위해 사용되는 가연성 기체, 보통, 수소가 사용된다. 
 
194. 연료 기체 (광학분석의)  (fuel gas (for optical analysis)) 
 
  원자흡광 분석법, 불꽃광도법 등에서 연료로서 사용되는기체 
 
195. 연료 전지  (fuel cell) 
 
  전지활성 물질(연료)을 외부로부터 연속 공급하고 방전 생성물을 시스템밖으로 제거하고 연소반응을 전기 화학적으로 일으켜 직접 전기에너지로 변환하는 전지 
 
196. 연속 광원을 사용한 바탕보정 시스템 (원자흡광 분석의)  (background correction system using continuous spectrum source (for atomic absorption spectrometry)) 
 
  연속 스펙트럼을 발생시키는 광원(보기를 들면, 증수소 등, 텅스텐 등등)으로부터의빛을 바탕보정에 사용하는 바탕보정법의 한가지 방식 
 
197. 연속 분석  (continuous analysis) 
 
  분석대상의 특성값을 시간적으로 중단하지 않고 연속적으로 측정하든지 일정시간 또는 일정량 간격으로 측정하는 것. 온라인 분석 및 인라인 분석 참조. 
 
198. 연속 산소분석기  (continuous oxygen analyzer) 
 
  배기가스 중 산소농도를 연속적으로 측정하는 장치. KS B 5353에 자기식 (자기풍 방식 및 자기력 방식) 및 전기화학식 (지르코니아식 및 전극식)의 자동계측기가 규정되어 있다. 
 
199. 연속 산화제 분석기  (continuous oxidant analyzer) 
 
  대기 중의 산화제 농도를 연속적으로 측정하는 장치. KS B 3276에 흡광광도 방식 및 전량 방식의 전체 연속 산화제 분석기가 규정되어 있다. 
 
200. 연속 오존 분석기  (continuous ozone analyzer) 
 
  공기 중의 오존농도를 연속적으로 측정하는 장치.
201. 연속 이산화황 분석기  (continuous sulfur dioxide analyzer) 
 
  대기 중 또는 배기가스 중의 이산화황 농도를 연속적으로 측정하는 장치. 
KS B 5359에 용액 도전율 방식, 불꽃광도 검출방식 및 정전위 전해방식의 자동계측기가 규정되어 있다. 
 
202. 연속 일산화탄소 분석기  (continuous carbon monoxide analyzer) 
 
  대기 중 또는 배기가스 중 일산화탄소농도를 연속적으로 측정하는 장치. KS B 5358 및 KS M 2097에 적외선 흡수방식 및 정전위 전해방식의 자동계측기가 규정되어 있다. 
 
203. 연속 질소산화물 분석기  (continuous nitrogen oxide analyzer) 
 
  대기 중 또느 배기가스 중의 질소 산화물의 농도를 연속적으로 측정하는 자동계측기. KS B 5360에 흡광광도 방식 및 화학 발광 방식의 자동 계측기가, KS M 5355에 화학 발광 방식, 적외선 흡수 방식, 자외선 흡수 방식 및 정전위 전해방식의 자동계측기가 규정되어 있다. 
 
204. 연속 플루오르화 화합물 분석기  (continuous fluorine compounds analyzer) 
 
  대기 중의 기체상태 무기플루오르 화합물을 연속적으로 측정하는 장치. KS B 3277에 이온전극 방식 및 흡광광도 방식의 자동 계측기가 규정되어 있다. 
 
205. 열기계 분석  (thermomechanical analysis (TMA)) 
 
  시료의 온도를 소정의 프로그램에 따라 변화시키면서 압축, 인장, 굽힘, 비틀림 등의 비진동적 하중을 가하여 그 물질의 변형을 온도의 함수로서 측정하는 방법. 
 
206. 열기계 분석장치  (apparatus for thermomechanical analysis) 
 
  열기계 분석에 사용하는 장치. 
 
207. 열기계 측정법  (thermomechnometry) 
 
  시료의 온도를 소정의 프로그램에 따라 변화시키면서 압축, 인장, 굽힘, 비틀림 등의 진동적 하중 또는 변형을 가하여 그 물질의 변형 도는 하중을 온도의 함수로서 측정하는 방법. 
 
208. 열량계  (calorimeter) 
 
  반응열, 잠열, 상전이 에너지, 비열 등을 측정하는 장치, 측정 중에 압력변화가 없는 일정 압력 열량계와 일정 부피 하에서 측정하는 일정 부피 열량계가 있다. 
 
209. 열무게 측정  (thermogravimetry (TG)) 
 
  시료의 온도를 소정의 프로그램에 따라 변화시키면서 질량을 온도의 함수로서 측정하는 방법. 
 
210. 열무게 측정장치  (apparatus for thermogravimetry) 
 
  열무게 측정에 사용하는 장치.
211. 열분석  (thermal analysis) 
 
  시료의 온도를 소정의 프로그램에 따라 변화시키면서 시료 및/또는 생성물의 어떤 물리적 성질을 온도의 함수로서 측정하는 방법들의 총칭. 
 
212. 열저울  (thermobalance) 
 
  시료를 연속적으로 가열 또는 냉각시키면서 그 무게를 다는 장치. 
 
213. 열전기 파일  (thermopile) 
 
  방사에너지를 측정하기 위하여 다수의 열전기쌍을 직렬로 접속한 것. 
 
214. 열전기쌍  (thermocouple) 
 
  온도 또는 방사 에너지를 측정하는 수단으로서 열기전력을 이용하기 위하여 2종류의 금속선을 양끝에 접합시킨 것. 
 
215. 열전기쌍 온도계  (thermoelectric thermometer) 
 
  열기전력을 이용한 온도계의 일종.
통상적으로 열전기쌍, 냉접점 용기 또는 보상회로, 미소 전압계 등으로 구성된다. 
 
216. 열전도도 검출기  (thermal conductivity detector (TCD)) 
 
  운반기체와 시료성분의 열전도율 차이를 이용하여 분석 대상 성분을 검출하는 기체 크로마토그래프용 검출기. 
 
217. 열전도식 기체 분석계  (thermal conductivity gas analyzer) 
 
  일정한 전류를 흘린 백금선에 시료 기체를 접촉시켰을 때 공급된 열량과 방사되는 열량에서 평행한 이 열선의 온도가 각 기체의 열전도율에 의존하는 곳을 이용한 기체 분석계. 
 
218. 열팽창 측정  (thermodilatometry) 
 
  시료의 온도를 소정의 프로그램에 따라 변화시키면서 시료의 치수를 온도의 함수로서 측정하는 방법. 
 
219. 열팽창 측정장치  (thermodilatometer) 
 
  열팽창 측정에 사용하는 장치. 
 
220. 염 다리  (salt bridge) 
 
  전해질 용액 등을 사용하여 2종류의 용액이 혼합되지 않고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장치
 221. 영점 기체  (zero gas) 
 
  계측기의 영점을 검정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검정용 기체. 
 
222. 영점 조정 (투과 백분율의)  (zero adjustment (of percent transmission)) 
 
  투과 백분율 눈금 지시계의 지시를 영의 눈금에 조정하는 조작 
 
223. 오염지수 (수질의)  (pollution index (of water quality)) 
 
  물의 오염상태를 나타내는 척도. pH, BOD, COD, 용존산소, 부유물질 등으로 나타낸다. 
 
224. 온도 적정  (thermometric titration ) 
 
  반응열에 기인하는 온도변화를 적정량의 함수로서 추적하여 그것으로부터 종말점을 구하는 적정. 
 
225. 온도 정점  (fixed point of temperature) 
 
  온도 눈금의 기준이 되는 온도. 
 
226. 온라인 분석  (on-line analysis ) 
 
  화학 공정 등에서 측정 대상으로부터 분석시료의 채취, 분석장치에의 도입, 분석, 기록·전송을 하는 장치에 의한 연속분석. 
 
227. 와이센베르그 카메라  (Weissenberg camera) 
 
  X선 회절상을 측정하기 위한 라우에 법에 이용하는 카메라 
 
228. 외장 기체  (sheath gas) 
 
  분석조작시 분석대상 원소나 장치 가열부분 재질의 산화, 질화 등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되는 불활성 기체 
 
229. 용기 상수 (전도율 측정 용기의)  (cell constant (for conductivity measure cell)) 
 
  전도율을 알고 있는 용액을 용기에 채워서 측정한 전기전도도와 전도율의 비. 측정 용기의 치수에 따른 고유한 상수 
 
230. 용리액  (eluent, eluant, eluting solvent) 
 
  칼럼에 유지되어 있는 시료성분을 전개, 용출시키기 위하여 사용하는 액체. 
 231. 용액 전도도법  (conductometric method) 
 
  용액의 전도도를 측정하여 정량하는 분석 방법 
 
232. 용존 수소계  (dissolved hydrogen meter) 
 
  주로 원자력 발전에 사용하는 순환수 중의 용존 수소농도를 측정하는 장치. 측정 방법으로서 폴라로그래프법, 열전도도법이 있다. 
 
233. 용존산소 측정기  (dissolved oxygen meter) 
 
  물 또는 수용액 중의 용존산소를 측정하는 장치. 갈바니 전지식, 폴라로그래프식 등이 있다. 
 
234. 용출법  (stripping method) 
 
  분석성분을 전기분해에 의해 전극 표면에 농축, 석출시킨 다음에 그것을 전기 화학적으로 용출시켜서 정량하는 분석 방법. 스트리핑법이라고 한다. 
 
235. 용출액  (eluate, effluent) 
 
  액체 크로마토그래피에서 용리액에 의해 전개되었을 때, 칼럼으로부터 유출되는 액체. 
 
236. 운반 기체  (carrier gas) 
 
  시료용액 또는 그 안개 혹은 분석대상 성분의 증기를 시료 측정부에 도입하기 위한 기체 
 
237. 운반체 없는 전기영동  (carrier-free electrophoresis) 
 
  분석에 사용하는 지지체가 없는 전기영동. 
 
238. 원자질량 단위  (atomic mass unit) 
 
  질량분석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질량의 단위로서 1개의 12C 원자질량의 1/12을 1로 한 질량단위. 기호로서 u를 사용한다. 
 
239. 원자흡광 광도계  (atomic absorption photometer) 
 
  분석 대상 원소를 불꽃, 전기가열, 화학반응 등에 의해 원자화시키고, 2원자 증기에 의한 빛의 흡수를 측정하는 장치 
 
240. 원자흡광 분광 광도계  (atomic absorption spectrophotometer) 
 
  파장선택부에 단핵화 장치를 사용한 원자흡광 광도계 
 
 241. 위치 감응형 비례 계수관 (X선 분석의)  (position sensitive proportional counter (X-ray analysis) 
 
  X선 의 입사위치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있는 비례 계수관. 
 
242. 유도결합 고주파 플라스마  (inductively coupled plasma (ICP)) 
 
  코일에 300MHz 이하의 특정 고주파 전류를 흘려서 전자기 유도에 의해 발생하는 전기장으로 코일루프 내를 흐르는 플라스마 기체를 고온으로 가열시켜 얻는 플라스마 
 
243. 유동점계 (석유 제품의)  (pour point analyzer (for petroleum product)) 
 
  시료액체를 냉각시켜 유동성이 없어졌을 때 시료유체의 온도를 측정하는 장치. 시료유체 중 회전날개의 회전 정지를 검출하는 방식 및 시료유체에 댄 공기압의 변화를 검출하는 방식이 있다.  
 
244. 유리 전극  (glass electrode) 
 
  용액 중 특정한 이온의 활동도에 따른 전위를 발생하는 유리막, 내부전극 및 내부용액으로 이루어지는 전극, pH전극이 있다. 
 
245. 유분계 (수질 분석의)  (oil content meter (water quality analysis)) 
 
  뭋의 유분을 측정하는 장치. 측정방법에는 용매추출-적외선 분석법, 유화 탁도법, 반사법 등이 있다.  
 
246. 은-염화은 전극  (silver-silver chloride electrode) 
 
  기준전극의 하나로서 염화물 이온 용액 [염화은] 은의 조합으로 된 반쪽전지 
 
247. 이동형  (portable type) 
 
  임의의 지저에서 비교적 단기간 동안의 측정을 목적으로 한 이동가능한 측정기의 형식. 
 
248. 이온 살 감시기  (beam monitor (BM)) 
 
  이온 살이 전극 또는 기구에 들어가기 전에 그 일부분을 받아서 이온량을 측정하기 위한 전극 또는 기구. 이온량은 전체 이온량에 비례한다. 
 
249. 이온 상자  (ion chamber) 
 
  방사선의 이온화 작용에 의해 생성된 전자와 이온양으로부터 그 세기를 측정하는 장치. 
 
250. 이온 선택성 전극  (ion selective electrode) 
 
  용액 중 특정 이온의 활동도에 응답하여 전위를 발생하는 전극 고체막 전극, 액체막 전극, 간격막 전극 등이 있다
251. 이온원  (ion source) 
 
  시료를 이온화시켜 이온 살을 만들기 위한 질량분석계를 구성하는 부품의 일부 
 
252. 이온화 상자  (ionization chamber) 
 
  이온화원의 일부로서 분자를 이온화시키기 위한 작은 상자 
 
253. 이온화 에너지  (ionization energy) 
 
  분자, 원자 또는 원자단의 이온화에 필요한 에너지. 이온화 포텐셜이라는 말은 사용하지 않는다. 
 
254. 이온화 전류  (ionizing current) 
 
  시료분자를 이온화시키는데 사용하는 열전자 또는 이온의 전류 
 
255. 인라인 분석  (in-line analysis) 
 
  화학공정 등에서 측정대상 속에 검출기끝을 삽입하여 분석, 기록·전송하는 장치에 의한 연속분석. 
 
256. 인화점 자동 측정기(석유 제품의)  (flash point analyzer (for petroleum product)) 
 
  시료유체를 가열하여 증발된 시료가 인화할 때 시료유체의 온도를 측정하는 장치. 전기불꽃에 의해 착화하는 측정방식이다. 
 
257. 일정 전위기  (potentiostat) 
 
  전극전위를 자동적으로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한 장치 
 
258. 자기 섹터  (magnetic sector) 
 
  섹터 모양을 한 자기장 
 
259. 자기섹터형 질량 분석계  (magnetic sector type mass spectrometer) 
 
  자기장을 사용하여 이온을 질량/전하비에 따라 분리하는 방식의 질량 분석계 
 
260. 자기장 주사  (magnetic field scanning) 
 
  질량 스펙트럼을 측정하기 위하여 자기장의 세기를 변화시켜 하는 주사
 261. 자동 감시장치 (환경의)  (automatic monitoring system (for environment)) 
 
  환경대기, 굴뚝 배기가스, 환경수역, 폐수 등의 수질에 관한 주된 방법으로 정한 항목에 대하여 시료채취, 측정, 결과표시를 자동적으로 하는 장치. 협의로는 해당항목의 연속 분석계를 말하고, 광으로는 단수 또는 복수의 연속 분석계, 신호전송부 중앙제어·표시부로 구성 
 
262. 자동 기록식 pH미터  (automatic recording pH meter) 
 
  물의 pH값을 연속적으로 측정하는 장치. 
 
263. 자동 분석  (automatic analysis) 
 
  시료도입 등 일련의 조작을 자동적으로 하는 분석. 
 
264. 자동 시료조제 장치 (덩어리 물질의)  (automatic sample preparation equipment (for bulk materials)) 
 
  대량 시료로부터 분석실 시료를 얻기 위한 건조, 분쇄, 분할 등의 시료 조제조작을 자동화한 장치. 
 
265. 자동 시료채취 장치 (덩어리 물질의)  (automatic samples (for bulk materials)) 
 
  일정 시간 또는 일정량 간격으로 단위 시료를 채취하여 이들을 합쳐서 대량 시료를 얻는 장치. 
 
266. 자동 원소분석 장치 (유기 원소 분석의)  (automatic elemental analyzer) 
 
  유기물 중의 탄소, 수소, 질소, 황 등을 자동적으로 분석하는 장치. 
 
267. 자동 입도측정 장치  (automatic particle size measuring apparatus) 
 
  자동적으로 분말의 입자지름, 입도분포 등을 측정하는 장치. 
 
268. 자동 탄화수소 분석계  (automatic hydrocarbon analyzer) 
 
  대기 중 탄화수소의 농도를 자동적으로 측정하는 장치. 
 
269. 자외선 흡수 검출기  (violet absorption detector) 
 
  분석 대상 성분의 자외선 흡수를 이용하여 검출하는 액체 크로마토그래프 검출기. 보통 가시선도 사용 가능성을 갖는다. 
 
270. 작업 전극  (working electrode) 
 
  전기분해에서 피전해 물질을 산화 또는 환원시키는 전극
271. 작은 각 산란  (small angle scattering) 
 
  시료에 의한 단색 X선의 산란 중 산란 각이 작은 것. 
 
272. 작은 각 산란 측각기  (small angle scattering goniometer) 
 
  작은 각 산란 X선의 세기 측정에 사용하는 장치. 
 
273. 작은 부피 공기 포집기  (low volume air sampler) 
 
  공기 중에 부유하고 있는 입자상 물질의 포집에 사용되는 흡인 공기량이 0.01~0.03m3/min인 시료 채취기. 
 
274. 잔류 염소계  (residual chlorine meter) 
 
  물의 분석에서 잔류염소를 측정하는 장치. 상수도의 정수과정, 하수처리과정에 주로 이용된다. 측정법으로는 플라로그래프법, 흡광광도법 및 갈바니 전지법이 있다. 
 
275. 잔류 전류  (residual current) 
 
  전기분해에서 목적으로 하는 복극제의 전기분해 이외의 원인으로 흐르는 전류 
 
276. 장 이온화  (field ionization) 
 
  침이나 칼의 선단에 생기는 높은 전기장으로 새료분자를 이온화시키는 것. 전계 이온화라고도 한다. 
 
277. 장 탈착  (field desorption (FD)) 
 
  방출기에 도포된 시료로부터 높은 전기장에 의해 기체상 중에 이온을 생성시키는 것. 전계탈리라고도 한다. 
 
278. 재 감지기 (종이의)  (ash sensor (for paper)) 
 
  제지공정에서 종이 중의 재의 양을 측정하는 장치. X선의 흡수 또는 형광 X선 세기로부터 측정하는 방식이 있다. 
 
279. 재구성된 이온 크로마토그램  (reconstructed ion chromatogram (RIC)) 
 
  컴퓨터로 질량 스펙트럼을 처리하여 묘사한 1가지 이상의 특정 이온에 의한 크로마토그램 
 
280. 적분값 (연속 분석의)  (integrated value) 
 
  주어진 시간점위에서 연속 분석계의 측정핪에 대한 적산값.

281. 적외선 분광 광도계  (infrared spectrophotometer) 
 
  400cm-1 부근에서 4000cm-1부근까지의 파수영역의 측정이 가능한 분광광도계 
 
282. 적하수은 전극  (dropping mercury electrode) 
 
  모세관의 선단으로부터 수은을 적하시켜 사용하는 전극. 폴라로그래피에서의 작업전극으로서 사용한다 
 
283. 전기 분석법  (electro analysis) 
 
  물질의 전기적 성질 또는 전기화학적 성질을 이용하여 정성, 정량하는 분석 방법 
 
284. 전기 전도도계  (electric conductivity meter) 
 
  용액의 전도도를 측정하는 기기 
 
285. 전기 전사  (electroblotting) 
 
  전기영동적으로 전사하는 것. 
 
286. 전기량 분석법  (coulometric analysis) 
 
  전기분해 분석법 중 전극반응에 필요한 전기량의 측정에 근거하는 분석 방법 
 
287. 전기량 적정법  (coulometric titration) 
 
  일정전류 전기분해에서 적정시약을 전기분해로 발생시켜 적정하고, 전기분해에 필요한 전기량으로부터 정량분석을 하는 분석방법 
 
288. 전기무게 분석법  (electrogravimetric analysis) 
 
  전기분해해서 전극에 석출된 물질의 무게를 달아서 정량하는 분석방법 
 
289. 전기분해 분석법  (electrolytic analysis) 
 
  전기분석 중, 전기분해에 의해 정성, 정량분석을 하는 분석 
 
290. 전기영동  (electrophoresis) 
 
  용액 중의 하전입자가 전위 기울기에 의해 이동하는 현상.
 
291. 전기장 주사  (electric field scanning) 
 
  질량 스펙트럼을 측정하기 위하여 전기장의 세기를 변화시켜 하는 주사 
 
292. 전기화학적 검출기  (electrochemical detector) 
 
  일정전위 전극반응을 이용한 액체 크로마토그래프용 검출기. 전기량법 검출기와 전류법 검출기가 있다. 
 
293. 전도도 적정법  (conductometric titration) 
 
  적정되는 용액에 담근 전도도 측정용기에 의해 얻어지는 전도도의 변화로부터 적정의 종말점을 결정하는 부피분석법 
 
294. 전류 적정법  (amperometric titration) 
 
  적정되는 용액에 담근 전극 간에 흐르는 전류변화로부터 적정의 종말점을 결정하는 부피분석법 
 
295. 전류 조정기  (amperostat) 
 
  전기분해 전류를 자동적으로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한 장치 
 
296. 전반사 감쇄법  (attenuated total reflectance method) 
 
  분석파장의 빛을 임계각 이상의 각도로 입사시켜 분석 대상 물질 내부에서 전반사를 일으킬 때 물질표면에 의한 흡수 스펙트럼을 얻는 방법 
 
297. 전반사 거울  (total reflection mirror) 
 
  전반사를 이용하고 일정파장 이상의 X선을 반사시키는 거울. 
 
298. 전압 전류법  (voltammetry) 
 
  미소전극을 사용한 전기분해에서 얻어진 전압-전류곡선을 해석하여 하는 분석 방법 
 
299. 전열 방식 (원자 흡광 분석의)  (electrothermal type (of atomic absorption spectrometry)) 
 
  흑연, 내열금속을 방열체로 하는 노에 전기를 통하여 줄열에 의해 시료를 건조, 회화, 원자화시키는 방식 
 
300. 전위 이온  (rearrangement ion) 
 
  이온이 분열될 때 이온 내의 원자 또는 원자단이 전위하여 생긴 이온
 301. 전위차 적정법  (potentiometric titration) 
 
  적정되는 용액에 담근 지시전극의 당량점 부근에서의 전위차 변화로부터 적정의 종말점을 결정하는 부피분석법 
 
302. 전이온 크로마토그램  (total ion chromatogram) 
 
  이온원에서 생성된 또는 어떤 범위의 질량수의 이온 전체량을 연속적으로 검출, 기록한 크로마토그램 
 
303. 전자 가속전압  (electron accelerating voltage, ionizing voltage) 
 
  이온화시킬 목적으로 전자를 가속시기키 위해 가해주는 전압, 이온화 전압이라고도 한다 
 
304. 전자 충격 이온화  (electron impact ionization (EI)) 
 
  시료분자를 전자흐름으로 충격하여 이온화시키는 것 
 
305. 전자포획 검출기  (electron capture detector (ECD)) 
 
  방사성 동위원소로부터의 방사선 또는 방전에 의해 생성된 자유전자가 할로겐이나 산소 등을 함유한 화합물과 재결합하는 현상을 이용하여 이들 화합물을 선택적으로 검출하는 기체 크로마토그래프용 검출기. 
 
306. 전치 칼럼  (pre-column) 
 
  크로마토그래프에서 분리용 칼럼의 앞끝에 결합시켜 농축, 예비분리, 이물질 제거 등을 위해 사용하는 칼럼. 
 
307. 점집속 카메라  (point focusing camera) 
 
  반사기에 의해 X선을 1점에 집광시키도록 한 카메라. 작은 각 영역의 산란측정에 사용된다. 
 
308. 정기 검정  (periodical calibration) 
 
  계측기의 성능관리를 위한 정기적으로 하는 기기의 검정. 
 
309. 정적 검정 (기체 분석의)  (static calibration (of gas analysis)) 
 
  검정 기체 대신에 등가액을 사용하여 하는 검출부의 검정. 
 
310. 정제법  (tablet method, pellet, method) 
 
  측정시료를 고운 가루로 만들고 측정 파장범위에서 빛의 흡수를 적은 고운 분말의 매체 중에 균일하게 혼합한 다음, 정제로 성형하여 측정하는 방법 
 311. 정지 및 흐름주입방식 (시료 주입의)  (stop-and-flow injection type (of sample injection)) 
 
  보내는 용액을 멈추고, 시료실을 상압으로 되돌려, 주사기로 시료를 주입하는 방식. 
 
312. 정치형  (stational type) 
 
  일정한 장소에 고정하여 장기간 연속 측정을 목적으로 한 계측기의 형식. 
 
313. 조연 기체 (검출기의)  (supporting gas (for detector)) 
 
  불꽃 형성을 위한 연료 기체의 연소에 필요한 공기 또는 산소의 총칭. 
 
314. 조연기체 (광학 분석의)  (supporting gas (for optical analysis)) 
 
  원자흡광 분석법, 불꽃광도법 등에서 연소를 돕기 위하여 혼합하는 기체. 통 공기나 산소 등이 사용된다. 
 
315. 조절전위 전기 분해 분법  (controlled potential electrolytic analysis) 
 
  전기분해 분석에서 작업전극의 전위를 일정하게 하고 전기분해하여 전류를 측정하는 분석방법 
 
316. 종말점 분석법 (임상 화학 분석의)  (end point assay (of clinic chemistry)) 
 
  액체 등의 시료에 함유되는 목적 물질과 특이하게 반응하는 시약을 가하여 그 반응량으로부터 목적물질을 측정하는 화학분석법에서 반응종료 후의 1점만을 계측하여 그 측정값으로부터 농도 또는 활성도를 구하는 방법.  
 
317. 주 칼럼  (main column) 
 
  사전 차단흐름에서 불필요한 부분이 제거된 시료를 받아서 필요한 성분을 분리하기 위해 사용되는 칼럼. 
 
318. 준안정 이온  (metastable ion) 
 
  이온화 상자에서 생성되어 들떠 있는 이온 중, 이온화 상자를 이탈하여 분해되는 이온 
 
319. 중간점 기체  (intermediate point gas)) 
 
  계측기의 측정범위에서 최소와 최대 간의 눈금을 검정하기 위해 사용하는 기체. 
 
320. 증기압계 (석유 제품의)  (vapor pressure analyzer (for pertroleum product)) 
 
  37.8℃에서 시료유체의 증기압을 측정하는 장치. 공기와 시료유체를 4:1로 혼합한 것의 증기압을 측정하는 리도법과 노즐로부터 분출시켰을 때의 시료유체 정압에서 증기압을 구하는 동적 측정법이 있다. 
 
 321. 증류 기체 크로마토그래프  (distillation gas chromatograph) 
 
  석유제품의 탄화수소 조성을 승온 기체 크로마토그래프로 분석하여 온도 유분조성을 추정, 정량하는 전용의 자동 분서계. 
 
322. 증류계 (석유 제품의)  (distillation analyzer (for petroleum product)) 
 
  시료유체를 증류하여 일정한 유출률일 때의 유출온도를 측정하는 장치. 1점의 유출률에 대한 유출온도를 검출하는 연속식과, 여러 점의 유출률에 대한 유출온도를 검출하는 배치식이 있다. 
 
323. 지력계  (paper strength sensor) 
 
  제지공정에서 종이 속을 전하는 초음파의 속도나 감쇄율로부터 종이의 강도를 평가하는 장치. 
 
324. 지만 분리 스펙트럼을 사용한 바탕보정 방식 (원자흡광 분석의)  (background correction system using Zeeman splitted spectrum (for atomic absorption spectrometry)) 
 
  자기장에 의해 지만 분열된 스펙트럼선을 바탕보정에 사용하는 바탕보정법의 1가지 방식 
 
325. 지시 전극  (indicator electrode) 
 
  용액의 전기화학적 성질을 지시하는 전극. 폴라로그래피에서는 적하수은 전극, pH미터에서는 유리전극 등이 그 보기이다. 
 
326. 지지 전해질  (supporting electrolyte) 
 
  폴라로그래피에서 영동전류를 무시할 수 있을 정도로 작게 하기 위하여 전해액에 다량으로 가해주는 보다 전기분해가 잘 안되는 전해질 
 
327. 직류 폴라로그패피  (direct current polarography) 
 
  직류로 가한 전압으로 얻은직류폴라로그램을 해석하여 하는 분석 방법 
 
328. 진공 열전기쌍  (vacuum thermocouple) 
 
  열용량이 작은 열전기쌍을 봉입하고 진공으로 한 적외선 검출소자 
 
329. 질량 분석계  (mass spectrometer) 
 
  질량 스펙트럼을 측정하는 장치. 통상, 이온을 전류로서 검출·기록한다. 
 
330. 질량 스펙트럼  (mass spectrum) 
 
  각 이온의 세기를 질량/전하수의 순서로 나열한 것. 가로축에 질량/전하수를, 세로축에 이온세기를 취하여 도시하는데, 표로 나타내기도 한다.
 331. 질량 크로마토 그래피  (mass chromatography (MC)) 
 
  기체 크로마토그래프 질량 분석계 등에서 기체 크로마토그램의 측정과 동시에 일정한 시간간격으로 질량 스펙트럼을 컴퓨터에 기억시킨 다음, 특정한 질량수의 이온세기의 시간변화를 얻어내고 기록하는 방법. 기록된 그림을 질량 크로마토그램이라 한다. 
 
332. 질량 토막그래피  (mass fragmentography (MF)) 
 
  특정한 질량수의 이온만을 선택이온 검출에 의해 실제 시간으로 검출기록하는 방법. 기록된 그림을 질량 토막그램이라 한다. 
 
333. 질량/전하수  (mass-to-charge ratio (m/z)) 
 
  이온의 질량을 전하수로 나눈 값. m/z로 나타내다. 
 
334. 질량농도 (부유 입자상 물질의)  (mass concentration (of floating dust)) 
 
  대기 중 부유 입자상 물질을 단위 부피당 질량으로 표시한 농도. 
단위는 μg/m3. 
 
335. 질량수  (mass number) 
 
  원자질량 단위로 원자 또는 이온의 질량을 표시했을 때 그것에 가장 가까운 정수 
 
336. 초박층 전기영동  (ultra thin layer electrophoresis) 
 
  유리 등의 평편한판에 분리용 겔을 100μm 정도의 대단히 얇은 층을 만들고 그것을 지지체로 사용하는 전기영동. 
 
337. 초전 소자  (pyroelectric element) 
 
  초전자를 생성하는 결정으로 만들어진 소자. 무기물이나 유기물로 된 것이 있고 단일 또는 조합시켜 광검출기에 사용한다. 
 
338. 총 소비식 버너  (total consumption burner) 
 
  시료용액을 흡입하여 버너에 보낼 때, 시료용액 전부를 미립자로 하여 불꽃 중에 분무시켜 원자화 또는 발광시키는 방식의 버너 
 
339. 총산소 요구량계, TOD 계  (total oxygen demand meter) 
 
  물 속의 유기물질의 양을 측정하는 장치. 구성 원소들인 탄소, 수소, 질소, 황 등이 연소할 때, 소비하는 산소량으로부터 구한다. 
 
340. 총유기탄소 측정기  (total organic carbon meter) 
 
  물 속의 총유기 탄소량을 이산화탄소로서 측정하는 장치.

 341. 총인계 (수질 분석의)  (total phosphorous analyzer (for water quality analysis)) 
 
  물 속의 전체 인을 측정하는 장치. 
 
342. 총질소계 (수질 분석의)  (total nitrogen analyzer (for water quality analysis)) 
 
  물 속의 전체 질소를 측정하는 장치. 
 
343. 총탄화수소계  (total hydrocarbon analyzer) 
 
  시료기체를 일정한 유량으로 수소불꽃 이온검출기에 도입하여 전탄화수소의 농도를 구하는 장치. 
 
344. 충돌 활성화  (collisional activation (DA)) 
 
  비행 중인 이온이 기체(아르곤 등)와의 상호작용(충돌)에 의해 병진 운동에너지의 일부가 내부 에너지로 변환되어 활성화되는 것 
 
345. 충전 칼럼  (packed column) 
 
  충전제를 충전한 칼럼. 
 
346. 측각기  (goniometer) 
 
  회절 혹은 산란 X선의 회절 또는 산란 각도를 측정하는 장치. 
 
347. 칼럼  (column) 
 
  크로마토그래피를 하기 위해 정지상을 형성하는 물질을 유지시킨 관. 
 
348. 칼럼 전기영동  (column electrophoresis) 
 
  지지체를 유리관에 채워 수직방향으로 영동을 하는 전기영동. 영동 후, 상부에서 완충용액을 흘림으로써 분취할 수 있다. 
 
349. 칼로멜 전극  (calomel electrode) 
 
  염화칼륨 용액[염화수은(I)] 수은의 조합으로 된 반쪽 전지 
 
350. 퀜칭 기계  (quenching gas) 
 
  기계 계수관에 의한 X선 계수에서 후속 방전을 억제하기 위하여 혼입하는 기체 
 
 351. 크라츠키 U슬릿  (Kratky U-slit) 
 
  작은 각도로 산란하는 세기를 측정하는 광학계에서 낮은 각도쪽의 측정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슬릿. 
 
352. 크로마토그래프  (chromatograph) 
 
  크로마토그래피를 하기 위해 사용하는 장치. 
 
353. 크로마토그래피  (chromatography) 
 
  혼합성분으로 된 시료를 정지상에 접촉시켜 흐르는 이동상에 실어서 정지상과 이동상에 대한 성분의 특성 차이에 의해 분리하는 방법. 
 
354. 크로마토그램  (chromatogram) 
 
  크로마토그래프의 기록계나 표시기 등에 표시된 시료성분의 용출상태를 나타내는 그림. 
 
355. 큰 부피 공기 시료 채취기  (high volume air sampler) 
 
  공기 중에 부유되어 있는 입자상 물질의 포집에 사용되는 흡입 공기량이 1~1.5m3/min인 시료 채취기. 
 
356. 탁도계  (turbidity meter) 
 
  액체의 탁도를 측정하는 장치. 측정법으로는 투광방식, 산란광방식, 표면산란방식, 투과산란방식 등이 있다. 
 
357. 태양 슬릿  (sollar slit) 
 
  얇은 금속판을 같은 간격으로 겹쳐 쌓아서 X선을 평행 빛살로 하기 위한 슬릿. 
 
358. 토막 이온  (fragment ion) 
 
  분자이온 등의 분열에 의해 생성된 이온 
 
359. 토막내기  (fragmentation) 
 
  이온이 1개 또는 몇 개로 분열되어 작은 질량의 이온을 생성하는 반응 
 
360. 투광 퍼센트  (percent transmission) 
 
  투광도를 백분율로 나타낸 것
 361. 투광도  (transmittance) 
 
  빛이 물질을 투과하는 비율을 투과 후의 광량과 투과 전 광량의 비로 나타낸 것 
 
362. 파장 분산방식  (wavelength dispersive) 
 
  회절현상을 이용한 분광기를 이용하여 X선을 분광하는 방식. 
 
363. 패러데이컵 수집기  (Faraday cup collector) 
 
  이온 살을 측정하기 위한 컵모양의 전극 
 
364. 팽창계 (석탄 분석의)  (dilatometer (for coal analysis)) 
 
  석탄을 가열한 경우에 부피변화를 측정하는 장치. 
 
365. 페닝 이온화  (Penning ionization) 
 
  들뜬 상태에 있는 중성의 원자 또는 분자에 의한 시료의 이온화 
 
366. 페이스트법  (paste method) 
 
  고체시료의 분광 측정을 하기 위한 시료 조제 방법의 한 가지로서 측정시료를 곱게 분쇄한 다음, 유동 파리핀 등의 점결제에 분산시켜서 투명한 판 위에 도포하여 측정하는 방법 
 
367. 평량계  (basis weight sensor) 
 
  제지공정 또는 필름제조공정에서 종이 또는 필름의 단위면적당 질량을 측정하는 장치. 방사선식과 적외선식이 있다. 
 
368. 평활도계  (smoothness sensor) 
 
  제지공정에서 종이의 요철을 광의 산란 정도로 측정하는 장치. 
 
369. 폴라로그래프  (polarograph) 
 
  미소전극을 지시전극으로 하여 상대 전극과의 사이에서 전기분해하여 전압-전류곡선을 측정하는 장치 
 
370. 프리에 변환 적외선 분광 광도계  (Fourier transform infrared spectrophotometer (FTIR)) 
 
  4000cm-1 부근에서 400cm-1 부근까지의 파수영역의 분광 스펙트럼을 간섭곡선 신호의 프리에 변환에 의해 측정하는 장치
371. 프리즘  (prism) 
 
  빛의 굴절률이 파장에 따라 다른 성질을 이용한 분산소자 
 
372. 플라스마 기체  (plasma gas) 
 
  유도결합 고주파 플라스마에서 플라스마를 주로 형성하는 기체. 토치 냉각을 위해 흘리는 냉각기체로 포함하는 수가 있다. 
 
373. 형광 검출기  (fluorescence detector) 
 
  용출액 중 분석 대상 성분의 형광을 측정하여 검출하는 액체 크로마토그래프용 검출기. 
 
374. 형광 광도계  (fluorometer) 
 
  들뜸광이나 형광의 어떤 파장 선택에도 필터를 사용하여 형광 세기를 측정하는 장치 
 
375. 형광 분광광도계  (fluorospectro-photometer, spectrofluorometer) 
 
  파장선택에 들뜸광쪽은 필터, 형광쪽은 다색화 장치를 사용하여 형광 세기를 측정하는 장치. 들뜸광쪽에 단색화 장치, 형광쪽에 필터로 파장선택하는 장치도 형광 분광광도계라 한다 
 
376. 혼합 고체 부유물계  (mixed liquor suspended solid meter) 
 
  하수처리 과정에서 통기탱크 내의 활성슬러지 부유물질의 농도를 빛의 투과, 산란에 의해 측정하는 장치. 
 
377. 화학 이온화  (chemical ionization (CI)) 
 
  시약기체로부터 생성된 반응 이온을 사용하여 시료분자를 이온화시키는 것. 생성되는 경우는 음이온 화학이온화라고 한다. 
 
378. 화학적 산소 요구량계, COD 계  (chemical oxygen demand meter) 
 
  물의 화학적 산소요구량을 자동적으로 측정하는 장치. KS M 0111에 준거한 조작을 자동화한 것. 
 
379. 화합물 반도체 소자  (compound semiconductor) 
 
  원자가가 다른 금속이나 준금속 원소의 화합물 결정 또는 혼합결정으로 된 반도체를 사용한 광검출 소자 
 
380. 회전진동 시료대  (specimen rotation oscillation attachment) 
 
  시료를 직교하는 2개 축의 주위로 회전, 진동시킴으로써, 배향에 의한 회절 X선 세기에의 영향을 평균화하는 장치 
 
 381. 회절발  (diffraction grating) 
 
  빛의 회절효과를 이용한 분산소자 
 
382. 흐림점계 (석유 제품의)  (cloud point analyzer (for petroleum product)) 
 
  시료유체를 냉각하면 파라핀 등이 석출되어 흐림이 생긴다. 이 때의 온도를 측정하는 장치. 투과량 검출방식과 산란광 검출방식이 있다. 
 
383. 흘림 기체  (flow gas) 
 
  분석장치의 작동시에 사용하는 운반기계, 외장기체, 연료기체, 및 조연 기체의 총칭 
 
384. 흘림형 (검출기의)  (flow-throu+F15gh type (of detector)) 
 
  시료를 도입하여 흘리면서 측정하는 검출기의 형식. 
 
385. 흡광도  (absorbance) 
 
  물질이 빛을 흡수하는 정도로서 투광도의 역수를 상용대수로 나타낸 수치 
 
386. 흡수 용기  (absorption cell) 
 
  용액이나 용매 등에 의한 빛의 흡수를 측정하기 위하여 그들을 넣는 용기 
 
387. 히드라진계  (hydrazine meter) 
 
  화력발전 플랜트의 보일러수 중의 히드라진 농도를 측정하는 장치.
측정방법으로서 플라로그래프법 및 갈바니 전지법이 있다. 
 
388. pH 기울기 전기영동  (pH gradient) 
 
  여러가지 등전점을 가진 양쪽성 전해질의 혼합액을 함유한 겔을 사용하는 전기영동. 
 
389. PH미터  (pH meter) 
 
  pH측정용 전극과 기준전극 간의 전위차로부터 수용액의 pH값을 측정하는 장치 
 
390. PONA 분석계 (석유제품의)  (PONA analyzer (for petroleum product)) 
 
  석유제품의탄화수고 조성을 기체 크로마토그래피로 분석하여 파라핀, 올레핀, 나프탈렌, 방향족의 4가지 형태로 분화량을 자동으로 정량하는 자동분석기. 
 
 391. UV흡수계 (수질 분석의)  (ultraviolet absorption meter (for water quality analysis)) 
 
  물 속의 일부 유기물이 흡수하는 자외선의 흡광도를 측정하여 수질 오탁의 지표로 하는 장치. 
 
392. X선 관구  (X-ray tube) 
 
  X선 분석의 선원으로서 사용하는 X선을 발생시키기 위한 진공관, 열전자 2극관의 일종으로서 밀봉식과 개방식이 있다.  
 
393. X선 발생장치  (X-ray generator) 
 
  X선관구 및 고전압 발생부 등으로 이루어지는 X선을 발생시키기 위한 장치. 
 
394. X선 필터  (X-ray filter) 
 
  주로 흡수끝을 이용하여 필요로 하는 에너지 영역의 X선을 얻어내기 위한 얇은 막. Kβ 필터, 균형 필터 등이 있다. 
 
395. X선 회절장치  (X-ray diffractometer) 
 
  시료에 의한 회절 X선의 회절각과 세기를 기록하는 장치. 
 
396. Ziroonia식 산소계  (zirconia type oxygen analyzer) 
 
  부분적으로 안정화된 지르코니아를 검출부로서 사용한 기체 중 산소의 분석계

'메모'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에러바  (0) 2018.06.17
광학 용어  (0) 2018.06.15
HOR HER OER ORR  (0) 2018.06.15
한국자기학회  (0) 2018.06.15
CRT  (0) 2018.05.27
Posted by 만l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