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학 용어

2018. 6. 15. 11:49 from 메모

http://www.mechapia.com/dictionary/manual_view.php?bC=45&mC=159&lN=1350&clist=&key=&cpage=2&s_skill_text=

출처


■ M-화학 KS M 0129 분석 화학 용어 (광학 부분)

1. 100눈금 조정 (투과퍼센트의)  (100 adjustment (of percentage transmission)) 
 
  투과 퍼센트 눈금의 지시계에서 가르키는 것을 100의 눈금에 맞추는 조작. 
 
2. 2중 파장 측광 방식  (double wavelength spectrometry) 
 
  측정시료에 파장이 다른 2개의 단색 빛살을 통과, 반사 또는 흡수시켜서 그들의 빛 세기를 측정하는 방식. 
 
3. 가시 스펙트럼  (visible spectrum) 
 
  전자파의 방사 중에서 약 400nm에서 800nm까지 파장영역의 스펙트럼. 
 
4. 간섭 (원자 스펙트럼 분석의)  (interference (in analytical atomic spectrometry)) 
 
  공존하는 물질의 영향 등으로 분석값에 오차가 생기는 것. 분광간섭, 물리 간섭, 화학 간섭, 이온화 간섭 등이 있다. 
 
5. 간섭 분광법  (interferometry) 
 
  간섭계에 의해 얻어진 신호를 프리에의 역변환을 하여 스펙트럼을 얻는 방법. 
 
6. 간섭성 반스톡스 분광법  (coherent anti-stokes Raman spectrometry, CARS) 
 
  레이저 라만 분광에서 반스톡스선의 세기를 사용하는 방법. 
 
7. 고유 X선  (characteristic X-ray) 
 
  X선 스펙트럼 중 원자의 내부껍질 에너지에 고유한 X선 . 특성 X선이라고도 한다. 
 
8. 고조화파 발생  (harmonic wave generation) 
 
  비선형 광학소자 입사한 광이 보다 짧은 파장으로 발생되는 현상. 파장이 1/2로 되는 경우를 제2고조화파 발생, 1/3로 되는 경우를 제3고조화파 발생이라 한다. 
 
9. 공명선  (resonance line) 
 
  원자가 외부로부터 광을 흡수하여 들뜬 다음, 다시 원래 상태로 천이할 때에 방사하는 선스펙트럼. 
 
10. 광분석  (photometric analysis) 
 
  적외선보에서 자외선부에 걸친 파장영역에서 방사의 세기를 육안, 사진법, 광전법 등의 방법으로 측정함으로써 하는 화학분석.

11. 광열 회절  (photothermal diffraction) 
 
  시료 중에서 같은 파장의 레이저광을 미소한 각도로 교차시켜서 광 흡수에 의해 생기는 열의 주기적 간섭 줄무늬로 시험광을 회절시키는 것. 대단히 약한 흡수 측정법의 일종. 
 
12. 광열편향 분광법  (photothermal deflective spectrometry, PDS) 
 
  들뜸광의 흡수에의해 발생한 열로 시료 표면의 분위기 기체가 가열되어 굴절률을 변화시키는 것을 탐침광으로 검출하는 분광법. 미약의 흡수 측정법의 일종. 
 
13. 광음향 분광법  (photoacoustic spcetrometry , PAS) 
 
  시료에 조사된 단속적인 들뜸광의 흡수에 의해 발생하는 간헐적 열팽창에 기인한 밀집된 파를 음향적으로 검출하는 분광법. 
 
14. 광음향 현미경 분광법  (photoacoustic microscopy) 
 
  레이저광 등을 가늘게 줄인 광빔을 시료면에 단속적으로 조사하여 발생하는 광음향 신호를 검출하는 분광법. 
 
15. 광전 측광법 (발광 분광 분석의)  (photoelectric photometry (in emission spectrochemical analysis)) 
 
  분광기로 분산된 스펙트럼선에 대응하는 위치에 광전 검출기를 배치하고 동시에 다원소를 측정하는 방법 및 보통의 분광 광도계와 똑같은 구조로 신속하게 파장주사를 하여 광전적으로 측정하는 방법. 
 
16. 광전자 분광법  (photoelectron spectroscopy) 
 
  진공 자외광 또는 파장이 긴 X선을 시료에 조사시켜 얻어지는 광전자를 검출하는 분광법. 
 
17. 광학 분할  (optical resolution) 
 
  과학 이성질체의 혼합물 (라세미체)을 각각의 이성질체별로 분리하는 것. 
 
18. 광학 순도  (optical purity) 
 
  1쌍의 대상물체로 이루어지는 혼합물 중에 존재하는 한쪽 광학 이성질체의 과잉량. 
{ㅣR-Sㅣ/(R+S)} × 100 으로 표시한다. 
 
19. 광학 필터  (optical filter) 
 
  특정 파장영역의 빛을 통과시켜서 다른 파장 영역의 빛을 흡수하는 물질로 이루어지는 층을 사용하여 특정 파장 영역의 빛을 내기 위해 사용하는 광학 소자. 
 
20. 광학 활성  (optical activity) 
 
  (1)물질이 선광선을 갖는 것.
(2)분자 중에 비대칭 탄소원자를 갖는 것. 
 21. 광학적 영점법  (optical null method) 
 
  이중빛살 방식의 분석기기에서 시료 측정 세기의 광량과 기준 시료를 측정한 세기가 같아지도록 기준 시료에 설치한 광감쇄시를 움직여서 그 변위로부터 투과율을 구하는 방법. 
 
22. 광회전 각도  (angle of rotation) 
 
  광학 활성물질이 편광면을 회전시키는 정도. 각도로 표시하고 우회전인 경우를 +,좌회전인 경우를 -로 표시한다. 
 
23. 광회전 분산  (optical rotatory dispersion, ORD) 
 
  광학 이성질체의 가시 ㆍ자외선 영역에서의 광회전 각도가 파장에 따라 변화하는 현상. 특히 코튼 효과를 해석대상으로 한다. 
 
24. 규소-리튬 반도체 검출기  (Si (Li) semiconductor detector) 
 
  규소 중에 리튬을 미량 가하여 만든 절연층을 삽입하여 P-I-N접합한 소자를 사용하고 , 입사 X선 에너지를 비례하는 전류펄스를 출력하는 검출기. 에너지 분산 방식에 사용된다. 
 
25. 근접선  (neighbouring line) 
 
  분석선에 근접하는 선스펙트럼. 
 
26. 글로 방전 발광 분광분석  (glow discharge atomic emission spectrochemical analysis) 
 
  그림ㆍ글로 등을 광원으로 한 발광 분광분석. 
 
27. 기울기 비법  (slope ratio method) 
 
  M과 A에 의해 화합물 MmAn을 생성할 때 과잉M이 존재 하에서 A의 농도를 변화시켜 얻어지는 흡광도와 A농도의 관계직선의 기울기 및 과잉 A의 존재 하에서 M의 농도를 변화시켜 얻어지는 흡광도와 M 농도의 관계 직선의 기울기 비로부터 조성비 m과 n을 구하는 방법. 
 
28. 기준 기체 (적외선 기체 분석계의)  (reference gas (for infrared gas analyzer)) 
 
  시료 셀로 적외선 흡수를 측정하는 경우의 대상이 되는 것으로서, 적외선을 흡수하지 않는 기체. 
 
29. 기준 용액  (reference solution) 
 
  시료용액의 색깔이나 흡수정도를 비교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표준적인 색깔이나 흡수를 표시하는 용액. 
 
30. 기준셀 (흡광광도 분석법의)  (reference cell(in molecular absorption spectrometry)) 
 
  서로 잘 일치되는 2개 이상의 셀을 사용하여 흡광도를 사용할 때, 용매 또는 기준용액을 넣은 쪽의 셀. 
 31. 기체셀  (gas absorption cell , gas cell) 
 
  흡광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기체시료를 넣는 용기. 
 
32. 내부 표준 물질.  (internal standard substance) 
 
  내부 표준법에서 표준으로 사용되는 물질. 
 
33. 내부 표준법  (internal standarad method) 
 
  특성이 정확하게 알려진 물질을 시료에 가하든지 시료 중의 농도를 아는 물질을 표준으로 하여 물질을 정량하는 방법. 
 
34. 내부 표준선  (internal standard line) 
 
  발광 분광분석에서 내부 표준법에서 사용되는 특정한 선스펙트럼. 
 
35. 냉증기 방식  (cold vapor type) 
 
  수온 원자 증기의 원자 흡광 분석을 위해 시료용액을 환원기화 또는 가열기화시키는 방법. 
 
36. 다광자 이온화  (ionization with multiple photon absorption) 
 
  2개 이상의 광자를 동시에 흡수하여 일어나는 이온화. 다광자 천이의 하나. 
 
37. 다색화 장치  (polychrometor) 
 
  입사광을 분산 소자에 의해 분산시켜서 목적하는 복수의 단색광을 동시에 내는 장치. 
 
38. 단색화 장치  (monochtometor) 
 
  분석 소자에 의해 특정 파장의 단색광을 내는 장치. 
 
39. 단파장 이동효과  (hyposochromic effect) 
 
  흡수 스펙트럼에서 분자의 화학구조 변화 등에 의해 단파장 이동을 일으키는 것. 
 
40. 대비법  (ratio method) 
 
  측정 정밀도를 높이기 위해 농도을 아는 외부 표준물질에 대한 신호세기와 목적 물질에 대한 신호세기의 비를 사용하여 검량선을 작성하고 분석하는 방법. 
 41. 들뜸 스펙트럼  (excitation spectrum) 
 
  특정 파장 (보통 최대의 형광 또는 인광파장)의 형광 또는 인광 강도를 들뜸 광 파장의 함수로서 도시한 것. 
 
42. 들뜸 에너지  (excitation energy) 
 
  원자ㆍ분자ㆍ이온을 들뜬 상태로 천이시키는데 필요한 에너지. 
 
43. 등흡수점  (isosbestic point) 
 
  2종류의 화학종이 공존하는 경우 양자가 같은 흡광계수를 나타내는 파장. 
 
44. 떠돌이 빛  (stray light) 
 
  단색화 장치 등으로 분산되고 검출된 빛 안에서 원하는 파장 이외의 파장 성분의 광. 
 
45. 띠 스펙트럼  (band spectrum) 
 
  어떤 파장영역 내에서 띠 모양으로 나타나는 스펙트럼. 분자 나 원자단이 그 성인이다. 
 
46. 라만 분광법  (Raman scattering spectroscopy) 
 
  라만 산란에 의해 나타나는 스펙트럼을 대상으로 하는 분광법. 측정 방법에 따라 공명 라만, 역 라만, 하이퍼 라만, 광음향 라만, 유도 라만 등의 분광법이 있다. 들뜸광원으로 레이저용을 사용하는 것을 레이저 라만 분광법이라 한다. 
 
47. 라만 산란  (Raman scattering) 
 
  주파수 υ의 빛을 물질에 조사하였을 때 물질의 구조에 따라 정해지는 고유한 징동수 υ'에 따라 일어나는 주파수 υ±υ'의 산란광. 
 
48. 람버트의 법칙, 부게의 법칙  (Lamber's law, Bouguer's law) 
 
  매질의 농도가 일정한 경우 , 매질층에 입사하기 직전과 투과한 직후의 빛의 세기를 각각 I0, I 라고 했을 때 다음 식으로 나타내는 관계를 말한다. I= I0ㆍ10-kcl  
 
49. 레이저 들뜸 형광법  (laser induced fluorometry, LIF) 
 
  레이저를 들뜸광원으로 하여 형광을 검출하는 관찰방법 또는 분석방법. 
 
50. 레일리 산란  (Rayleigh scattering) 
 
  빛을 물질에 조사시켰을 때 생기는 산란 현상 중, 진동수 변화를 수반하지 않는 간섭성 산란의 일종.
 51. 마이크로 적외선 분광법  (infrared microspectromety) 
 
  전체 시스템이 반사광소자로 구성된 현미경에 의해 적외선 영역에서 작은 영역의 분광 측정을 하는 방법. 프리에 변환 적외선 분광 광도계와 조합에 의해 반사 투과 측정 모두 10㎛ 정도의 작은 영역 측정이 가능하다. 
 
52. 마이크로 플라스마 발광분광 분석.  (microwave induced plasma atomic emission spectrochemical analysis) 
 
  마이크로파 유도 플라스마를 광원으로 한 발광 분광분석. 
 
53. 모슬레이의 법칙  (Moseley's law) 
 
  원자의 고유 X선파장의 원자 번호의 관계를 나타내는 법칙. 
 
54. 몰 흡광계수  (molar absorptivity) 
 
  특정 물질의 흡광도 As를 측정 화학종 1몰 농도, 1cm의 셀을 사용했을 때 환산한 값으로서 파장, 온도 등에 따라 결정되는 물질의 상수 αm.
단위는 ㎝-1ㆍ㏖-1ㆍ1 , αm=As/cl  
 
55. 몰비법  (mole ratio mithod) 
 
  M과 A에 의한 화합물 M An이 생성될 때, M의 농도를 일정하게 하고 A의 농도를 변화시킨 몇 종류의 용액에 대하여 흡광도를 측정하여 그 만곡점에서 조성비 n을 구하는 방법. 
 
56. 무전극 방전등  (electrodeless discharge lamp) 
 
  금속의 할로겐화물 등을 불활성 기체와 함께 봉입하고 전극을 사용하지 않고 고주파 전기장으로 점등하는 방전판. 
 
57. 미분 분광법  (derivative spectrometry) 
 
  스펙트럼의 미분곡선을 구하고 그 미소 변화를 이용하는 방법. 
 
58. 미켈슨 간섭계  (Michelson interferometer) 
 
  입사과을 빛살 분할기로 나누어 고정거울과 이동거울로 분사시킨 다음 , 다시 합성시키는 것으로서 이동 거울을 움직임으로써 광로차를 변화시켜 인터페로그램을 얻는 광학계. 
 
59. 바탕 보정 (원자 흡광 분석의)  (background correction (in atomic absorption spectrometry)) 
 
  바탕흡수를 보정하여 대상으로 하는 원자 증기만에 의한 흡광도를 얻는 것. 이를 위한 방법으로 연속 스펙트럼 광원법, 편광 지만법, 비공명 근사선법, 자기 반전법 등이 있다. 
 
60. 바탕 상당 농도  (background equivalent concentration, BEC) 
 
  바탕에 의한 신호와 같은 신호를 주는 분석대상 성분의 농도. 
 61. 바탕 흡수 (원자 흡광 분석의)  (background absorption (in atomic absorption spectrometry)) 
 
  광로 중의 분자에 의해 흡광 또는 광산란에 의한 분석선의 세기가 감소하는 것. 
 
62. 반사율  (reflectance) 
 
  빛이 물질의 표면에서 반사될 때 입사광 세기에 대한 반사광 세기의 비율. 
 
63. 반사흡수 분광법  (reflection absorption spectroscopy,RAS) 
 
  입사면에 큰 입사각으로 평행편광을 입사시킴으로 표면에 존재하는 물질과의 상호 작용이 증대하고 감도가 향상되는 반사 측정법. 
 
64. 반죽법  (paste method) 
 
  고체 시료의 분광측광을 하기 위한 시료조제법의 하나. 측정 시료를 곱게 가루로 만들고 유동 파라핀 등에 분산시켜 이것을 투명한 판위에 발라서 측정하는 방법. 
 
65. 발광  (luminescence) 
 
  물질이 빛, 열, 화학 반응 등의 에너지에 의해 들떠서 일어나는 발광 현상. 
 
66. 발광 면역측정법  (luminescence immunlassay) 
 
  면역 측정법에서 표지물질로서 화학 발광성의 것이나 생물 발광성의 것을 사용하는 것. 
 
67. 발광 분광 분석  (emission spectrochemical analysis) 
 
  전기적, 열적,등 각종 방법에 의해 시료를 들뜨게 하여 방사되는 원자 스펙트럼을 분광기나 분광광도계로 관측하는 정성ㆍ 정량 분석의 총칭. 
 
68. 발색  (color development) 
 
  화학반응, 흡착, 흡수 등에 따라 생성 물질에 특유한 색이 나타나는 것. 
 
69. 발색 시약  (coloring reagent) 
 
  발색시키기 위하여 사용하는 시약. 
 
70. 발색단  (chromophore) 
 
  분자 내에서 흡수띠를 나타내는 주요인이 되고있는 원자, 원자단 또는 전자군. 
 71. 방출선  (emission line) 
 
  방사 스펙트럼 중에 나타나는 밝은 선. 들뜬 원자, 이온이 바닥상태로 천이할 때 방사하는 에너지의 스펙트럼. 
 
72. 베어의 법칙  (Beer's law) 
 
  매질층의 두께가 일정한 경우에 이 층에 입사하기 직전과 투과한 직후 빛의 세기를 각각 l0, l라고 할 때, 다음 식으로 표시되는 관계를 말한다.
ㅣ0= l ·10KeC식에서 C: 매질의 농도, 
Ke : 그 매질의 어떤 정해진 두께의 층 
 
73. 보조전극 (발광 분광 분석의)  (auxiliary electrode) 
 
  시료만으로 된 전극을 형성할 수 없는 경우에 시료를 방전 내에 유지하기 위한 전극 . 시료의 성상에 따라 적합한 모양의 것을 사용한다. 
 
74. 분광 결정  (dispersive crystal) 
 
  X선을 분광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결정. 결정 격자면의 간격의 크기에 따라 적용파장범위가 다르다. 
 
75. 분광 광도계  (spectrophotometer) 
 
  분광기에 의해 분산된 스펙트럼을 광전 측광법으로 측정할 수 있게 한 장치. 
 
76. 분광 분석  ( spectrochemical analysis) 
 
  스펙트럼을 이용하여 하는 정성·정량 분석. 
 
77. 분광 사진기  (spectrograph) 
 
  분광기에 의해 분산된 스펙트럼을 사진법으로 기록하는 장치. 
 
78. 분광기  ((1)spectrograph, spectrometer 
(2)spectroscope) 
 
  (1)1 개 광원으로 부터의 빛을 분산시켜 1개 초점면 위에 파장순으로 슬릿상을 생기게 하는 장치. 
(2) (1)의 장치에서 스펙트럼을 눈으로 관찰할 수 있도록 한 장치. 
 
79. 분광분석에서 원소의 정량에 이용되는 선스펙트럼.  (analytical line) 
 
  분광분석에서 원소의 정량에 이용되는 선스펙트럼. 
 
80. 분무기  (nebulizer) 
 
  시료 용액을 공기, 아르곤 등으로 분무하여 에어로졸에 가까운 미세한 입자로 만드는 장치.
 81. 분산 소자  (dispersive device) 
 
  각종 파장 성분의 빛을 분산시키기 위한 광학 소자. 
 
82. 분자광도 분석법  (molecular absorption spectrophotometry) 
 
  파장 180~1000 nm의 특정 파장에서 빛의 흡수를 측정하여 정성ㆍ정량을 하는 방법. 
 
83. 분해 (분광기의)  (resolution (of spectrometer)) 
 
  단색화 장치에서 나오는 빛의 스펙트럼 나비. 
 
84. 분해능 (광분 분석의)  (resolving power (in photometric analysis)) 
 
  인접한 2개의 방출선 스펙트럼을 별개인 것으로서 식별할 수 있는 능력. 식별가능한 최소한의 파장차로 표시한다. 
 
85. 불꽃 원자흡광 분석  (flame atomic absorption spectrometry) 
 
  불꽃 (화학불꽃)을 사용하는 원자 흡광 분석. 
 
86. 브라그식  (Bragg's equation) 
 
  결정의 격자간격, X선의 입사각 및 회절차수와 반사 X선 파장의 관계를 나타낸 식. 
 
87. 비례 계수관  (proportional cornter) 
 
  입사 X선 에너지에 비례하는 높이의 펄수를 발생하는 계수판. 
 
88. 비분산  (non-dispersion) 
 
  특정 파장띠를 측정하기 위하여 분산 소자를 사용하지 않고, 광학필터, 선택성 검출기 등을 사용함으로써 파장 분산과 똑같은 효과를 얻는 것. 
 
89. 비블꽃 원자 흡광 분석  (flameless atomic absorption spectrometry) 
 
  불꽃(화학불꽃)을 사용하지 않는 원자 흡광 분석 . 전기가열 방식과 냉증기 방식이 있다. 
 
90. 비색 분석  (colorimetric analysis) 
 
  시료물질의 투과광 또는 반사광에 의한 색조나 색의 농도 등을 표준 용액 등과 비교하여 정성ㆍ정량분석을 하는 것.
 91. 비탁법  (turbidimetry) 
 
  탁한 물질에 대하여 그 산란광의 세기 혹은 탁도에 의한 빛 세기의 감쇠 또는 양자의 비를 측정함으로써 그 물질의 농도를 측정하는 방법. 
 
92. 사진 측광법(발광분광석의)  (spectrophotographic (in emission spectrochemical analysis)) 
 
  분광기에서 분석된 스펙트럼을 사진감광 재료에 노출시켜서 스펙트럼 사진을 얻는 방법. 
 
93. 산화 불꽃  (oxidative flame) 
 
  과잉의 산화성 기체가 존재하여 산화성 분위기가 되어 있는 화학불꽃. 
 
94. 상관광 음향 분광법  (correlational photoacoustic spectrometry, c-PAS) 
 
  들뜬 광의 주파수를 변조시켜 얻어진 신호를 해석하여 깊이 방향의 정보를 얻는 광음향 분광법. 
 
95. 상대 전극 (발광 분광 분석의)  (counter electrode (in emission spectrochemical analysis)) 
 
  발광 분광분석에서 방전을 형성하는 1쌍의 전극 중, 시료전극 또는 보조전극이 아닌 쪽이 전극. 
 
96. 상반 법칙의 불성립 (사진 측광법의)  (counter electrode (in emission spectrochemical analysis)) 
 
  사진 측광법에서 복사선의 세기가 극히 센 경우와 약한 경우 및 노출 시간이 극히 짧은 경우와 긴 경우에 상반법칙이 성립하지 않는 현상, 즉 빛의 세기와 노출시간의 곱이 흑화도에 비례하지 않는 현상. 
 
97. 생물 발광  (bioluminescence) 
 
  생물 화학반응에 수반하여 일어나는 발광. 
 
98. 생물 발광법  (bioluminescence method) 
 
  생물발광을 이용한 분석방법. 시료에 생물 발광성 효소, 미생물 등을 작용시켜 방출되는 광량을 측정하여 측정 대상 물질의 농도 또는 양을 구한다. 
 
99. 섬광 계수기  (scintillation counter) 
 
  Nal (Ti) 등의 섬광체에의해 입사 X선을 가시선 또는 자외선 영역의 광펄스로 변환시켜 계수하는 검출기. 
 
100. 세포 분류  (cell sorting) 
 
  플로 사이트메트리를 이용하여 특정 세포입자를 각개로 분리ㆍ수집 하는 것.

 101. 소광(형광광도 분석의)  (quenching(in fluorescence spectrometry)) 
 
  빛에 의해 들뜬 분자가 다른 분자와 충돌하거나 화학반응에 의해 형광을 발하는 활성을 상실하는 것. 
 
102. 속빈 음극등  (hollow cathode lamp) 
 
  분석 대상원소를 포함하는 속빈 음극을 저압의 네온 등과 함께 봉입한 방전관. 원자 흡광분석 등을 위한 광원으로서 사용된다. 
 
103. 수소 방전관  (hydrogen lamp) 
 
  진공관 안에 극히 낮은 압력으로 봉입한 수소 중에서의 아크 방전을 이용하는 방전관. 자외선부의 스펙트럼 광원으로서 사용된다. 
 
104. 수소화물 발생법.  (hydride generation method) 
 
  시료용액 중 분석대상 성분(보기를 들면 비소, 셀렌, 안티몬 등의 화합물)을 불꽃, 플라스마 또는 흡수셀에 도입하고 분석하기 위하여 환원하여 수소 화합물로 하는 방법. 
 
105. 스파크 방전 발광 분광분석  (spark source atomic emission spectrochemical analysis) 
 
  스파크 방전을 광원으로 한 발광 분광분석. 
 
106. 스파크선  (spark line) 
 
  스파크 방전에 의해 들뜬 이온이 방사하는 선스펙트럼. 
 
107. 스팬 조정용 기체(기체 분석계)  (span gas (for gas analyzer)) 
 
  분석계의 눈금을 정하거나 눈금교정 이외의 시험에서 스팬 교정용 기체 대신에 사용하는 기체  
 
108. 스펙트럼  (spectrum) 
 
  하나의 방사원에서 발하는 전자파의 방사를 프리즘, 회절격자 등의 분산 소자에 의해 분산시켜 얻어진 것. 
 
109. 스펙트럼 나비  (spectral bandwidth) 
 
  광학 시스템의 출구 슬릿을 나온 빛살의 나비를 파장 또는 에너지등으로 표시한 것. 
 
110. 스펙트럼 분포 곡선  (spectral distribution curve) 
 
  광원으로부터의 방사 세기를 파장, 에너지 등의 함수로서 도시한 것.
111. 스펙트럼 순도(빛살의)  (spectral purity (of light beam)) 
 
  하나의 빛살 중에 포함되어 있는 방사의 파장 나비. 이것이 작을수록 스펙트럼의 순도가 높다. 
 
112. 슬릿  (slit) 
 
  광학계에서 빛살을 규제하기 위하여 설치된 좁은 간격. 
 
113. 슬릿 나비  (slit width) 
 
  평행하게 열려 있는 슬릿의 간격. ㎜또는 ㎛단위로 표시한다. 
 
114. 시간 분해 분광법  (time resolved spectroscopy) 
 
  극히 짧은 시간의 스펙트럼을 취하는 것 및 그것을 시계열적으로 관찰하는 것. 한번의 측정시간이 10-9초 수준인 경우 나노초 분광, 10-12초 수준인 경우 피코초 분광 등이라고 한다. 
 
115. 시료 전극( 발광 분극 분석의)  (sample electrode (in emission spectrochemical analysis)) 
 
  분석시료 그 자체로 조제한 방전전극. 보통, 흑연제 상대전극과 조합하여 사용한다. 
 
116. 시료셀 (발관 분광 분석의)  (smple cell(in molecular absorption spectrometry)) 
 
  시료 용액을 넣은 흡수셀. 
 
117. 시차 측정법 (흡광광도 분석법의)  (differential mes) 
 
  대단히 작든지 큰 흡광도를 정밀하게 측정하기 위해 , 시료용액의 흡광도보다 약간 크든지 작은 흡광도를 나타내는 농도를 아는 용액을 100맞춤용으로 대조액으로서 사용하는 측정방법. 
 
118. 신호 대 바탕선비  (signal-to-background ratio , SB ratio) 
 
  순신호세기와 바탕성 세기의 비율. 
 
119. 싱크로트론 복사  (synchrotron radiation, SR) 
 
  전자 가속기의 일종인 전자 싱크로트론에서의 복사. 가시선 영역에서 X선 영역에 미치는 넓은 범위의 연속광이 얻어진다. 
 
120. 아크 방전 발광 분광 분석  (arc discharge atomic emission spectrochemical analysis) 
 
  전극간에 아크방전을 일으켜 이것을 광원으로 하는 발광분광분석.
 121. 아크선  (arc line) 
 
  아크나 불꽃에 의해 들뜬 중성원자에게 방사되는 선스펙트럼. 
 
122. 에너지 분산방식  (energy dispersive method) 
 
  광학적인 분산방식을 사용하지 않고, X선 에너지에 비하여 전기 신호를 선별하여 분광(에너지 선별)하는 방식. 
 
123. 역선 분산  (reciprocal linear dispersion) 
 
  분광기의 분산도 표시방법의 하나. 분광기의 초점면에서 dλ의 파장차를 갖는 빛이 dx의 거리를 가질 때를 의미하며 dλ/dx로 표시된다. 
 
124. 연속 변화법  (continuous variation method) 
 
  M과 A에 의해 화합물 M An이 생성될 때 , M과A의 전체 농도를 일정하게 유지하고, 각각의 혼합비를 변화시킨 몇 종류의 용액에 대하여 흡광도를 측정하고 그 최대를 나타내는 점으로부터 조성비 n을 구하는 방법. 
 
125. 연속 스펙트럼  (continuous spectrum) 
 
  에너지의 복사가 어떤 파장영역에 걸쳐서 연속되고 있는 경우의 스펙트럼. 
 
126. 열렌즈 분광법  (thermal lens spectrometry, TLS) 
 
  시료의 굴절률이 광흡수에 의한 열발생으로 극소적으로 변화하는 것을 이용하는 분광법. 미약 흡수측정법의 일종. 
 
127. 영점 조정 (투과 퍼센트의)  (zero adjustment (of percent transmission)) 
 
  투과 퍼센트 눈금 지시계의 지시를 영의 눈금에 맞추는 조작. 
 
128. 영점 조정용 기체 (기체 분석계의)  (zero gas (for gas analyzer)) 
 
  분석계의 눈금을 정하거나 눈금교정 이외의 시험에서 영점 교정용 기체 대신에 사용하는 기체. 
 
129. 예비혼합 버너  (permix burner) 
 
  연료기체, 산화제 기체 및 시료 용액의 안개를 혼합 연소시켜서 원자화하는 방식의 버너. 
 
130. 오목 분광소자( X선의)  (concave dispersive element (for X-ray analysis)) 
 
  결정 격자의 브래그 반사를 이용하여 X선을 분광하기 위한 오목한 모양의 소자.
 
131. 외장 기체 (원자 흡광 분석의)  (sheath gas (in atomic absorption spectrometry)) 
 
  분석 조작시 분석 대상 원소나 원자화부 주변 재질의 산화를 방지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불화성 기체 
 
132. 용매 효과  (solvent effect) 
 
  용액의 흡수 또는 발광 스펙트럼에서 용질 분자에 특유한 스펙트럼이 용매의 종류에 따라 파장 이동이나 스펙트럼의 모양이나 세기에 변화가 나타나는지 또는 다른 파장영역에 새로운 스펙트럼이 나타나는 현상. 
 
133. 운반 기체  (carrier gas) 
 
  시료용액 혹은 그 안개 또는 분석 대상 성분의 증기를 원자화부, 플라스마 등에 도입하기 위한 기체. 
 
134. 원 편광 2색성  (circular dichroism, CD) 
 
  광학 이성질체의 광학 흡수띠 부근에서 원편광 좌우의 흡수차. 
 
135. 원자 스펙트럼  (atomic spectrum) 
 
  원자가 방사 또는 흡수하는 전자파의 스펙트럼. 
 
136. 원자 스펙트럼 분석  (analytical atomic spectrometry) 
 
  원자 스펙트럼을 측정하여 원소를 정성ㆍ정량하는 방법. 
 
137. 원자형광 분광법  (atomic absorption spectrometry) 
 
  들뜬 원자가 낮은 에너지 준위로 천이할 때, 방출되는 2차광(원자형광)을 검출하는 분광법 
 
138. 원자흡광 분석법  (atomic absorption spectrometry) 
 
  시료 중에 함유되는 분석 대상원소를 불꽃, 전기가열 또는 화학반응에 의해 원자화시키고 그 원자 증기층이 흡광도를 측정합으로써 분석 대상 원소의 농도를 구하는 방법. 불꽃 원자 흡광분석과 비불꽃 원자흡광 분석이 있다. 
 
139. 유도결합 고주파 플라스마  (inductively coupled plasma, ICP) 
 
  코일에 300MHz 이하의 특정 고주파의 전류를 흘려 , 전자기 유도에 의해 발생한 전기장으로 코일 내의 기체를 이온화시켜 얻어지는 고온의 플라스마 
 
140. 유도결합 고주파 플라스마 발광 분광 분석  (inductively coupled plasma (ICP)atomic emission spectrochemical analysis) 
 
  유도결합 고주파 플라스마를 광원으로 한 발광 분광 분석. 
 
 141. 이온선  (ionic line) 
 
  들뜬 이온이 방사하는 선스펙트럼. 
 
142. 인광  (phosphrescence) 
 
  물질의 분자가 빛에 이해 들뜬 1중항 상태로 들뜨고, 그것이 들뜸 3중항 상태로 옮긴 후 , 바닥 상태로 천이할 때 발생하는 빛. 
 
143. 자외선 스펙트럼  (ultraviolet spectrum) 
 
  전자파의 방사 중에서 약 200nm에서 400nm까지 파장 영역의 스펙트럼. 
 
144. 자체 반전  (self reversal) 
 
  방출선의 자체 흡수가 강해져서 그 중심부의 방사 세기가 영 또는 영에 가까운 현상. 
 
145. 자체 흡수  (self absorption) 
 
  1개의 방출선에서 그 방출선을 방출하는 물질과 같고, 낮은 에너지 상태에 있는 물질이 방사 에너지를 흡수하는 현상. 
 
146. 장파장 이동효과  (bathochromic effect) 
 
  흡수 스펙트럼에서 분자의 화학구조 변화에 따라 적색이동을 일으키는 것. 
 
147. 쟈키노의 우위성  (Jaquinot's advantage) 
 
  간섭 분광법에서는 슬릿을 사용하지 않으므로 많은 양의 빛을 이용할 수 있기 때문에 밝기 점에서 유리하고 대단히 약한 광의 측정에 유리하다는 것. 
 
148. 적색 이동  (red shift) 
 
  최대 흡수파장이 장파장쪽으로 이동하는 것. 
 
149. 적외선 분광 광도법  (infared spectrophotometry) 
 
  적외선 흡수 스펙트럼을 측정하여 정성ㆍ정량을 하는 분석 방법. 
 
150. 적외선 흡수 스펙트럼  (infrared absorption spectrum) 
 
  적외선부에 나타나는 흡수 스펙트럼.
151. 전기 가열방식(원자 흡광 분석의 )  (electrothermal type (in atomic absorption spectrometry)) 
 
  시료를 흑연이나 내열 금속을 발열체로 하는 노 안에서 건조ㆍ회화ㆍ원자화시키는 방식. 
 
152. 전반사 가쇄법  (attenuated total reflection method) 
 
  굴절률이 큰 프리즘에 분석 파장이 빛을 임계각 이상으로 입사시켜 프리즘과 시료 계면에서 전반사를 일으키게 하여 시료의 흡수 스펙트럼을 얻는 방법. 
 
153. 전자 결합 에너지  (electron binding energy) 
 
  광전자 분광법의 에너지측을 눈금 매기기 위하여 사용되는 양. 각 구성전자의 결합 세기를 의미하며 eV단위로 표시한다. 
 
154. 전자탐침 마이크로 분석  (electron beam microanalysis, EPMA) 
 
  가늘게 줄인 전자살을 시료에 조사하여 얻어지는 X선을 검출하는 분광방법. 
 
155. 정제법  (tablet method, pellet method) 
 
  측정 시표를 고운 가루로 만든 다음, 측정 파장 범위에서 빛의 흡수가 적은 미분말 상태의 매체 중에 균일하게 혼합한 후, 정제로 만들어 측정한는 방법. 
 
156. 조색단  (auxochrome) 
 
  발색단과 동일분자에 존재하며, 가시선을 흡수하는데 있어 발색단의 작용을 도와주는 원자단. 
 
157. 중성밀도 필터  (neutral density filter) 
 
  특정한 파장영역 내에서 거의 일정한 투과율을 나타내는 필터. 
 
158. 중성선  (neutral line) 
 
  들뜬 원자가 발광하든지 또는 낮은 에너지 준위에 있는 원자가 흡수하여 생기는 선스펙트럼. 
 
159. 중수소 방전관  (deuterium lamp) 
 
  진공 중에 아주 낮은 압력으로 봉입한 중수소 중에서의 아크방전을 이용하는 방전관. 자외선부의 연속 스펙트럼 광원으로서 사용된다. 
 
160. 직류 플라스마 발광분광분석  (direct current plasma atomic emission spectrochemical analysis) 
 
  직류 플라스마를 광원으로 한 발광분광 분석. 
 
 161. 청색 이동  (blud shift) 
 
  최대 흡수파장의 단파장으로의 파장 이동. 
 
162. 초음속 제트 분광법  (supersonic jet spectroscopy, SSJS) 
 
  미소 노즐로부터 진공계 내로 시료기체를 분출 확산시킴으로써 얻어지는 시료살을 사용하는 분광법. 분자를 순간적으로 극저온으로 급랭시켜 분해가 잘되는 스펙트럼 등을 얻는 목적으로 사용된다. 
 
163. 최저 들뜸 전압  (the lowest excitation voltage) 
 
  각 원자에서 특정된 고유 X선을 들뜨게 하기 위하여 필요한 최저한도의 들뜸전압. 
 
164. 코튼 효과  (Cotton effect) 
 
  선광분산 스펙트럼에서 광학 활성 흡수띠 부근에 정이나 역의 최대 값을 갖는 곡선이 나타나는 것. 
 
165. 콘즈의 우위성  (Connes' advantage) 
 
  간섭 분광법에서는 레이저 파장을 기준으로 하여 간섭파를 (인터페로그램)를 계축하는 것으로서 , 스펙트럼 파수의 정밀도가 높다고 하는 특징. 
 
166. 크세논동  (xenon lamp) 
 
  고압(약6기압)으로 봉입한 크세논 기체 중에서의 아크방전을 이용하는 방전관, 자외선 영역에서 근적외선 영역까지 강한 연속 스펙트럼을 낸다. 
 
167. 키랄성  (chirality) 
 
  분자구조가 손대칭을 갖는 것. 
 
168. 텅스턴등  (tungsten lamp) 
 
  텅스텐 필라멘트를 사용한 320nm이상의 장파장 영역에서 사용되는 광원용 등. 
 
169. 퇴색  (color fading) 
 
  화학반응, 흡착 ,흡수 등의 결과로 반응 물질이 나타낸 색이 엷어지는 것. 
 
170. 투과 퍼센트  (percent transmission) 
 
  투과율을 백분율로 나타낸 것.
 171. 투과율  (transmittance) 
 
  빛이 물질을 투과하는 비율을 투과 후의 빛 세기 I와 투과 전의 빛세기량 l0t =(l / I0)의 비로 표시한 것. 
 
172. 파수  (wavenumber) 
 
  단위 길이 (1cm)내에 있는 파의수. 보통은 진공에서의 값. 
σ또는 υ로 나타낸다. 
 
173. 파장  (wavelength) 
 
  전자파의 파동으로 인접한 같은 위상점 간의 거리. 보통 λ로 표시한다. 
 
174. 파장 교정  (wavelength calibration) 
 
  분광 광도계의 파장 눈금이 올바른지를 알고 있는 파장의 복사를 내는 광원 또는 흡수하는 물질을 사용하여 보정하는 것. 
 
175. 파장 분산  (wavelength dispersion) 
 
  각종 파장의 성분을 포함하는 빛을 프리즘이나 회절 격자 등을 사용하여 분광하는 것. 
 
176. 파장 분산방식  (wavelength dispersive method) 
 
  X선을 분광결졍 , 회절 격자 등의 분광소자를 사용하여 분광하는 방식. 
 
177. 파장 이동  (wavelength shift) 
 
  흡수 또는 발광 스펙트럼의 최대 파장이 이동하는 것. 적색 이동과 청색 이동이 있다. 
 
178. 파장 주사  (wavelength scanning) 
 
  스펙트럼 측정을 위해 파장, 진동수 또는 파수를 연속적으로 변화시키는 것. 
 
179. 펄스 분포 해석법(발광 분광 분석의)  (pulse distribution analysis (in emission spectrochemical analysis)) 
 
  스파크 방전에서 펄스마다의 스펙트럼 세기를 측정하고 그 분포를 해석하여 보기를 들면, 용해성 알루미늄과 불용해성 알루미늄의 판별 등의 상태분석을 하는 발광분광법. 
 
180. 펠게이트 이득  (Fellgette's advantage) 
 
  간섭 분광법에서는 측정 파장영역의 신호를 동시에 측정하기 위하여 측정시간에 비해 SN비가 향상되는 것을 말한다. 
 181. 편광 해소법  (depolarization method) 
 
  편광 들뜸에 의한 형광의 편광이 분자 운동에 의해 시간이 경과됨에 따라 해소되는 정도를 측정하는 방법. 
 
182. 평면 분광소자(X선의)  (plane dispersive element (in X-ray analysis)) 
 
  결정 격자의 브래그 반사를 이용하여 X선을 분광하기 위한 모양이 평면인 소자. 
 
183. 평행화 장치  (collimator) 
 
  평면 분광소자를 사용하고 있을 때에 필요한 평행빛살을 만들기 위한 소자. 
 
184. 표면증강 라만산란  (surface enhanced Raman scattering SERS) 
 
  레이저ㆍ 라만 분광에서 온표면 등으로 질소 화합물 등이 라만 스펙트럼이 현저하게 증강되는 것. 
 
185. 표준 첨가법  (standard addition method) 
 
  같은 양의 몇 개의 시료 용액을 분석 대상 원소가 각각 다른 농도로 함유되도록 조제한 것을 사용하여 농도와 지시치의 관계선을 작성하고 농도축의 자른 조각에서 시료용액 중의 분석 대상 원소의 농도를 구하는 방법. 
 
186. 표준화 시료(발광 분광분석의)  (sample for standardization) 
 
  일정시간 또는 일정 시료마다 검량성을 교정하기 위해 사용하는 시료. 
 
187. 현미 형광법  (microscopic fluorometry) 
 
  현미경 시야에서 하는 형광 관찰 분석방법. 
 
188. 형광  (fluorescence) 
 
  분자나 원자가 빛에 의해 준안정 상태로 들떴다가 바닥상태로 천이할 때에 발생되는 빛. 
 
189. 형광 분광 분석법  (fluorescence spectrometry) 
 
  형광 스펙트럼 또는 들뜸 스펙트럼을 측정하여 물질을 정성ㆍ정량하는 방법. 
 
190. 형광 스펙트럼  (fluorescence spectrum) 
 
  분자나 원자가 특정파자의 들뜸광(보통, 세기가 가장 센 형광이 얻어지는 파자의 빛)에 조사되어 들뜬 다음, 준안정 상태로부터 바닥상태로 천이할 때 방출되는 전자파의 스펙트럼. 
 191. 형광 표지법  (fluorescence labeling) 
 
  분석 대상 성분의 형광을 이용하여 검출 감도를 높이기 위해 그 성분 분자에 형광성 물질을 결합시키는 것. 
 
192. 형광 X선  (fluorescent X-ray) 
 
  x선, r선 등에 의해 등뜬 2차 x선 중 산란 x선이 아니고 물질구성 원자의 내부 에너지를 반영하는 X선. 
 
193. 형광 X선 분석법  (fluorescent X-ray analysis) 
 
  형광 X선을 측정하여 물질을 정성ㆍ정량하는 방법. 
 
194. 화학 발광법  (chemiluminescence method) 
 
  화학 반응에서 방출된 에너지로 들뜬 화학 종이가 낮은 에너지 준위로 천이할 때 방출되는 2차광을 이용하는 방법. 
 
195. 확산 반사법  (diffused reflection method) 
 
  분말이나 거친 면을 갖는 시료에 빛을 조사시켜 시료면으로부터 복사된 빛(확산 복사광)에 의해 흡수 스펙트럼을 얻는 방법. 
 
196. 환원 기화법  (method for producing the atomic vapor by reduction) 
 
  시료 용액 중 분석 대상 성분을 환원시켜 기체 상태로 만드는 방법. 
 
197. 환원 불꽃  (reducing flame) 
 
  가연성 기체가 과잉으로 존재하고 환원성 분위기가 되어 있는 화학불꽃. 
 
198. 흐름 세포법  (flow cytometry) 
 
  극히 작은 지름의 흐름살로 흐르고 있는 유체 중의 세포입자를 레이저광 등으로 조사하여 입자에 의한 빛의 산란 ㆍ 흡수ㆍ 형광 등을 측정해서 세포를 정성ㆍ정량하는 방법. 
 
199. 흡광 증가효과  (hyperchromic effect) 
 
  흡수 스펙트럼에서 분자구조의 변화 등에 따라 흡수띠의 몰 흡광계 수가 증대하는 것. 
 
200. 흡광도  (absorbance) 
 
  물질이 광을 흡수하는 정도 As로서 투광도 t 의 역수에 대한 상용대수로 표시한 값.
As = log(1/t).
 
 201. 흡수  (absorption) 
 
  전자파의 방사가 시료물질을 통과할 때, 시료물질이 전자파의 일부 또는 전체 파장 영역에 걸쳐서 그 세기를 감소시키는 현상. 
 
202. 흡수 곡선  (absorption curve) 
 
  흡수의 크기를 에너지, 파장 등의 함수로서 도시한 것. 
 
203. 흡수 곡선의 어깨  (shoulder of absorption curve) 
 
  흡수 곡선 상에서 최대 또는 최소를 나타내지는 않지만 수평에 가까운 짧은 변곡부. 
 
204. 흡수 스펙트럼  (absorption spectrum) 
 
  전자파의 어떤 파장 범위 방사의 일부가 시료물질에 따라 흡수되어 얻어진 스펙트럼. 
 
205. 흡수 최대  (absorption maximum) 
 
  흡수띠의 파장영역 내에서 최대의 흡수를 나타내는 부분. 
 
206. 흡수띠  (absorption band) 
 
  흡수 스펙트럼 중, 얼마간 넓어진 흡수를 나타내는 파장띠. 
 
207. H-D 곡선  (H and D curve, Hurter and Driffield curve) 
 
  사진 감광제의 교정곡선의 일종. 감광재료 상에 생긴 감광부위의 흑화도를 노출 대수의 함수로서 표시한 것. 
 
208. K계열 X선  (K-series X-ray) 
 
  원자에 고유한 X선 중, 원자에 속한 전자가 K껍질에 있는 빈 궤도로 천이함으로써 발생하는 일군의 X선. 
 
209. L계열 X선  (L-series X-ray) 
 
  원자에 고유한 X선 중 원자에 속하는 전자가 L껍질의 빈 궤도로 천이함으로써 발생되는 일군의 X선

'메모' 카테고리의 다른 글

xrd  (0) 2018.06.29
에러바  (0) 2018.06.17
분석기기 용어  (0) 2018.06.15
HOR HER OER ORR  (0) 2018.06.15
한국자기학회  (0) 2018.06.15
Posted by 만l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