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자성 – 초반자성 – 상자성 – 초상자성 – 강자성 – 반강자성 – 준강자성 - (메타자성 – 스핀 글라스– 스핀 아이스 잘모르겠다)
출처 위키피디아
반자성
반자성(反磁性, diamagnetism)은 자기장에 대해 물질의 약한 반발력이다. 그것은 자성의 형태로 외부자기장이 인가되어있을 때만 확인되는 것이다. 모든 물질은 인가된 자기장에 대해 반자성 응답을 보인다. 사실 반자성은 매우 일반적인 현상이다. 왜냐하면 모든 물질이 전자를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모든 물질은 항상 약한 반자성을 띄지만 다른자성(강자성,상자성등)때문에 드러나지 않는다. 그래서 특정한 물질에서만 반자성 효과가 나타난다. 반자성 물질은 외부 자기장의 반대 자기장을 형성한다. 반자성은 모든 물질에 작용하는 양자역학적인 효과이며 반자성을 띄는 물질을 반자성체라고 한다. 반자성체에는 물, 수은, 에탄올, 비스무트, 구리, 금, 은 등이 있다. 강자성체와는 다르게 반자성체는 영구자석이 아니다. 반자성체는 투자율이 0보다 작다. 대부분 물질의 반자성은 작은 효과이다. 그러나 초전도체는 자기장을 완전히 밀어낸다.
반자성체는 자기장내에서 안정된 균형을 지니며 전력 소비 없이 공중부양될 수 있다. 언쇼 정리는 정자기 부양의 가능성을 제외하는 것처럼 보인다. 그러나 언쇼의 정리는 단지 강자성체와 같은 영구 모멘트을 지닌 물체에만 적용된다. 그 자기 에너지는 m·B로 주어진다. 강자성체는 장의 극대에 끌린다. 그것은 자유공간에서는 존재하지 않는다. 반자성은 자기장의 유도된 형태이다. 그리하여 자기 모멘트는 인가된 자기장 B에 비례한다. 이것은 반자성체의 자기에너지가 B에 비례한다는 의미이다. 반자성체는 또 자기장의 극소에도 끌린다. 그리고 자유 공간에 최소점이 있을 수 있다. (사실 ).
열분해 흑연(pyrolitic graphite)의 얇은 판이 대개 강한 반자성 물질이며 희토류 영구 자석과 같은 자석의 자기장내에 안정적으로 부유하게 할 수 있다. 이것은 상온에서 모든 성분으로 될 수 있다. 반자성의 유효한 전시를 할 수 있다.
초반자성
초반자성 (또는 완전 반자성, 영어: Meissner effect)은 저온에서 특정 물질에서 발생하는 현상이다. 자기 투자율이 전무한 (즉 자기 투자율 = −1) 그리고 내부 자기장을 축출하는 특징을 지닌다. 초반자성은 초전도의 특색이다. 그것은 1933년에 월터 마이스너에 로버트 오센펠트에 의해 확인되었다. (마이스너 효과).
초반자성은 물질의 초전도가 위상 천이의 단계임을 확증한다. 초전도 자기 부상은 초반자성으로 인한 것인데, 그것은 자석이 부유하여 떠나는 것을 막는다.
프리츠 런던과 하인쯔 런던은 자기 플럭스가 전기적 스크리닝 전류에 의해 유발된다는 이론을 개발하였다. 스크린닝 전류는 초전도체 표면에서 흐르며 초전도체내부에 외부에서 인가된 장을 정확하게 소거한다. 이들 스크리닝 전류들은 초전도체가 자기장이 있는 곳으로 옮겨지면 항상 발생한다. 이것은 초전도체가 전기저항이 0이라는 사실에서 알 수 있다. 그리하여 에디 전류는 자기장내부의 물질의 움직임에 의해 유발되어 붕괴하지 않는다. 프리츠는 1935년 왕립 학회에서 열역학적 상태는 단일한 파동함수로 기술할 수 있다고 주장하였다.
상자성
상자성(常磁性, paramagnetism)은 외부의 자기장이 있으면 자기적 성질을 가지만, 외부의 자기장이 사라지면 다시 자기적 성질을 잃는 현상이다. 이는 자기장이 다시 사라져도 자성이하 다른 현상이다. 즉, 상자성을 띠는 물질은기 투자율]]이 1보의 자화율을 가진다. 외부 자질 내의 [[자기 들이 일시적으로 재배치되므발생한 인력은 장의 세기가 약할 때는 선형이다. 그것은 전형적으로 효과를 검출하기 위해 민감한 분석적 균형을 . 강과는 다르게, 상자성은 외부에서 인가된 자기장의 부재시에 임의의 자계를 지니지 않는다. 왜냐하면 열직임에는 스핀이 임의적으로 배향되게 유발하기리하여 전체 자기장은된 자기장이 제 0으로 지라도 단지 작은 자화만이 생기는데 그것은 전체 입자들 중 극소수의 스핀들만이 자기장에 의해 정다.
이 분율은 자기장의 세기에 비례하고 이것은 자기장 세기와 자화도의 선형의 의존성을 설명해 준다. 강자성체에 작용하는 인력은 비선형이고 더욱 강하다. 냉장고 문 등에 쓰인다.
강자성
강자성(强磁性, 영어: ferromagnetism)이란 외부 자기장이 없는 상태에서도 자화되는 물질의 자기적 성질을 말한다. 물리학에서는 자성을 여러가지 종류로 분류한다. 그 중에서도 강자성은 가장 세기가 센 종류이다. 강자성을 띈 물체는 유일하게 느낄 수 있을 정도로 강한 힘을 만들 수 있다. 상자성 또는 반자성을 띄는 다른 물질의 경우 자기장에 의해 반응을 하긴 하지만, 그 힘은 매우 약하여 민감한 실험 장비에 의해서만 측정될 수 있을 정도이다. 강자성은 물질 내의 전자들의 스핀과 궤도 각운동량에 따른 자기모멘트가 서로 영향을 미치는 상호작용에서 기인한다. 따라서 강자성을 띈 물체라도 그 물질의 퀴리온도에 다다르게 되면 강자성이 사라지게 된다. 또한 강자성물질임에도 불구하고 자성이 겉으로 나타나지 않는 경우도 있는데, 이는 내부에 자기 구역이 생겨서 각각의 구역은 강자성을 띄지만 구역마다 자기모멘트가 서로 다른 방향으로 정렬되어서 전체적으로 상쇄되기 때문이다.
강자성을 띈 물체가 일상 생활에서 사용되는 예로는 메모 등을 붙이는 데 이용되는 냉장고의 자석이 있다. 이는 자석과 강자성체 사이의 인력을 이용한 것이다. 단원자 강자성체로는 철, 니켈, 코발트 등이 있으며, 산화철·산화크롬·페라이트 등 금속 산화물도 강자성을 지닐 수 있다. 주로 합금 상태의 강자성이 영구자석으로 사용된다.
반강자성
반강자성(영어: antiferromagnetism)은 전자의 스핀이 인접한 스핀과 균일하게 반대로 정렬하여 순 자성이 없는 상태이다. 일반적으로 반강자성 물질은 저온에서 반강자성을 보인다. 그리고 특정 온도위에서 특성이 사라지며 무질서하게 된다. 이 전이 온도를 루이 네엘의 이름을 따 네엘 온도(Néel temperature)라고 한다. 네엘 온도보다 더 높은 온도에서는 반강자성체는 상자성을 띤다.
저온에서의 반강자성의 거동은 반자성의 특성을 보이며 때로는 물리적으로 관찰 가능한 많은 특성이 강자성을 나타낸다.
투자율은 온도가 하락함에 따라 최대를 지나간다.
준강자성
준강자성(準强慈性, ferrimagnetism) 재료는 반강자성에서처럼 다른 하부 격자에서 원자의 자기 모멘트가 반대로 되는 성질을 보인다. 그러나 준강자성에서는 반대 모멘트가 상쇄되지 않아 자발적인 자성이 남는다. 준강자성은 하부 격자가 다른 물질 또는 이온으로 구성될 때 일어난다. (예를 들면 Fe2+ 와 Fe3+).
초상자성
초상자성(superparamagnetism) 재료는 위키 문서에 없다 ㅜㅜ